[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신라 금관은 왜 꺾이지 않는가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신라 금관은 왜 꺾이지 않는가

입력 2019-12-15 16:50
수정 2019-12-16 03: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금관은 말 그대로 금으로 만든 모자다. 신라 금관은 이제까지 6점이 출토됐는데,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에 제작됐다. 도굴된 경주 교동 금관을 제외한 가장 이른 시기의 고분은 황남대총이며, 이어 금관총·서봉총·천마총·금령총 순으로 금관 제작 순서를 추정할 수 있다.

신라 금관의 기본 형식은 머리에 쓰는 둥근 관테에 장식을 세우는 방식이다. 즉 세움 장식 형태는 금관 앞과 좌우에 출(出) 자 모양의 나뭇가지 장식 3개가 붙어 있고, 금관 뒷부분 양끝에 지그재그로 뻗은 사슴뿔 모양의 장식이 한 쌍씩 덧붙여 있다. 그리고 이들 금관의 표면에는 금판을 둥글게 오려 만든 수십 개의 달개와 파란 굽은 옥을 달았으며, 관테 양옆에는 귀걸이 모양의 드림을 두서너 가닥씩 달아 세계 어느 왕관보다도 장식이 장엄하고 화려하다.

이제까지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아직도 궁금한 것이 금관의 용도다. 금관을 실제로 썼을까, 아니면 단순한 부장품으로만 썼을까. 부장품용의 근거로는 금판에 달린 곡옥과 달개 장식이 너무 많고 무거워 쓰기가 불편하다는 것이다. 황남대총의 금관에는 곡옥 36개, 달개 89개, 불록 장식이 91개나 있다. 실제 금관총의 금관 무게는 692g이고, 천마총의 금관은 1269g으로 그렇게 가벼운 것은 아니다. 현재 군인들이 쓰는 방탄 헬멧의 무게가 1.4㎏인 것으로 볼 때, 금관이 목이 달아날 정도로 무거운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 유행했던 가체(가발)의 무게가 4∼5㎏이나 됐지만, 너도나도 쓰고자 해서 영조는 여자들의 목을 보호하기 위해 가체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

또 금관은 화려한 외모와 달리 매우 약하게 만들어졌고, 금관에 달린 많은 장신구의 무게로 조금만 움직여도 꺾이거나 내려앉아 실제 사용이 어려웠다는 것이다. 심지어 발굴 당시 금관은 이마 위에 올려 쓴 것이 아니라 금관으로 얼굴 전체를 감싼 채 매장됐다고 해 데드마스크라고도 했다. 그리고 금관의 세움 장식이 모두 고깔처럼 원추형을 이루며 끝이 모아진 채 출토돼 금관은 죽었을 때 특별히 제작된 부장품이라 여겼다.

하지만 의문은 남는다. 금관을 무덤 부장품으로 쓰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것이라면 굳이 출(出) 자형이나 사슴뿔 모양과 같은 장식을 세우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신라 금관은 사람이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더욱이 종이 두께밖에 안 되는 1㎜ 정도의 금판에 많은 장식을 달아 세운다는 것은 쉽지 않다. 금관 중 제일 높은 것이 44.4㎝, 제일 낮은 것이 27.7㎝로, 이 정도의 높이에 1㎏ 안팎의 무게를 가진 금관이라면 당연히 휘거나 꺾여 머리에 쓰기 어렵다.

그런데도 신라 금관은 꺾이지 않고 세워져 있다. 왜일까. 그 비밀은 다름 아닌 세움 장식의 금판 가장자리와 관테에 새겨진 연속 점열 무늬다. 교동 금관을 제외한 5점의 금관에는 모두 연속 점열 무늬가 한 줄 혹은 두 줄씩 새겨져 있다. 교동 금관은 높이가 12.8㎝밖에 안 돼 꺾일 염려가 없어 점열 무늬를 새기지 않은 것이다.

금관의 점열 무늬는 입식의 가장자리 뒷면에서 송곳 모양의 뾰족한 도구를 수직으로 세워 점선 기법으로 새겼다. 이처럼 투공이 아닌 반투공으로 시공하면 가장자리가 촘촘하게 파지면서 약간 접히고 금판이 힘을 받아 꺾이거나 구부러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양쪽 받침대에 종이를 놓고 그 위에 가벼운 것을 놓아도 하중으로 종이가 떨어진다. 그렇지만 종이를 삼각 모양으로 지그재그로 접고 그 위에 물건을 놓으면 접은 만큼 몇 배의 힘을 받아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소위 금관의 점열 무늬는 트러스트 공법의 일종이다. 신라인들은 이미 세련된 금세공 기술과 함께 트러스트와 같은 새 공법을 금관에 적용했다.
2019-12-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