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 시인
점심 밥상 위에 오른 그것을 태평추라고 했다. 국물이 식기 전에 우리는 서둘러 후룩후룩 태평추를 떠먹었다. 메밀묵은 뜨끈하게 입속으로 들어갔고 가끔 고기 씹히는 맛이 혀에 닿았다. 묵을 거의 다 건져 먹을 무렵에는 몇 숟가락 밥을 말아 먹었다. 한두 번 태평추를 맛봐야 혹한이 지나갔다. 태평추는 여름에는 잘 만들어 먹지 않는 음식이다.
묵밥이 아니다. 김치찌개가 아니다. 돼지고기 두루치기도 아니다. 경북 북부지방, 특히 예천에서는 그 음식을 태평추라고 했다. 이 음식이 왜 태평추라는 이름을 갖게 됐는지 설명해 주는 어른은 아무도 없었다. 그이들은 음식명의 어원을 따져볼 겨를이 없이 살았다. 우선 먹고사는 일이 급했으므로.
태평추와 유사한 음식으로는 궁중에서 먹었다는 탕평채가 있다. 탕평채에는 청포묵과 소고기와 채소와 버섯 등이 들어간다. 이 둘은 재료가 아주 유사하고 소리도 비슷하다. 추측건대 태평추는 탕평채를 흉내 낸 음식이거나 그 발음의 변형일 것이다. 문자에 밝지 못한 서민들이 ‘탕평’보다는 ‘태평’에 더 끌렸을 수도 있다. 세상은 줄곧 태평하지 않았으니 태평추를 먹으며 태평성대를 그리워했을지도 모른다.
태평추는 도토리묵으로 만들지 않는다. 반드시 메밀묵이어야 한다. 토양이 기름진 고장에서는 메밀을 잘 심지 않는다. 메밀은 건조하고 척박한 땅, 자갈이 많은 비탈진 곳에 주로 심는다. 백석의 시 ‘국수’는 북방의 음식으로서 메밀국수, 즉 냉면을 말한다. 메밀은 “어늬 양지귀 혹은 능달쪽 외따른 산 옆 은댕이 예데가리밭에서” 자라는 작물이다.
비빔밥이나 국밥은 전국 어디를 가도 먹을 수 있지만 태평추를 메뉴로 내놓는 음식점은 내가 알기로 열 군데 남짓이다. 예천의 통명묵집, 동성분식, 청포집이 대표적이고 안동, 영주, 대구에도 몇 집 있다고 들었다. 이 특별할 게 없는 음식을 특별하게 여기는 또 다른 이유는 그 이름 때문이다. 태평추, 글자 하나하나마다 격한 거센소리가 두음으로 자리잡고 있어 발음해 보면 마치 벼랑을 때리는 파도 소리 같기도 하다.
올해는 각종 선거가 코앞이다. 후보자들이여, 고관대작이 되기를 바란다면 서민의 밥상에 무엇이 오르는지 알아야 할 것이다.
부디 남과 북을 나누지 말고 동과 서를 가르지 말라. 당선이 되거든 인재를 고루 탕평하게 등용하고 어떻게 태평성대를 만들 것인가 궁리하라.
2022-01-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