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의 꽃차례] 초간정 가는 길

[안도현의 꽃차례] 초간정 가는 길

입력 2020-12-28 17:20
수정 2020-12-29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도현 시인
안도현 시인
우리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경북 예천 용문면 죽림리에 초간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나는 멀리서 벗들이 올 때마다 금당실이나 초간정으로 산책을 나선다. 초간정은 내가 아는 한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고 기품 있는 정자다. 이 정자는 모양새가 아주 단출한데 그 주위에 수백 년 된 소나무와 참나무가 근사한 원림을 형성하고 있다. 용문사 쪽에서 내려오는 계곡물이 초간정을 감고 흐르는 풍경은 그야말로 입이 떡 벌어지게 만든다. 처마 아래에는 원래 이름 초간정사(草澗精舍) 나무 편액이 걸려 있다. 그걸 볼 때마다 그 고졸한 멋에 빠져든다.
이미지 확대
이곳은 한가하게 풍류를 즐기기 위해 지은 정자가 아니다. 초간정은 조선 선조 때의 문인 권문해의 별서(別墅)다. 권문해가 관직을 그만두고 귀향해 풍광이 뛰어난 곳에 따로 지은 별채 공부방이었다. 그는 학봉 김성일, 서애 류성룡 등과 함께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공부했고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 ‘대동운부군옥’의 집필자다. 이 책은 모두 20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서 임진왜란 이전 우리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회사에 대한 총괄 보고서다.

초간정을 돌아보다가 문득 기록들을 모아 분류하고 저잣거리의 시시콜콜한 이야기들을 수집한 권문해의 노고를 생각해 본다. 기록은 기록하는 사람이 있어야만 기록된다. 그의 손끝을 떠올리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권문해는 당시 우리 학자들이 학문을 대하는 태도가 사대주의적 경향을 띠는 데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그는 “선비들이 중국의 일을 이야기할 때는 역대의 흥망을 어제 일처럼 환하게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일은 수천 년 동안의 역사를 마치 태고의 일처럼 아득하게 여기고 있다. 이는 눈앞에 있는 것은 보지 않고 천리 밖에 있는 것을 보는 것과 같다”고 했다. 우리의 자주성에 바탕을 둔 저작 ‘대동운부군옥’은 보물 제878호로 지정돼 있다.

이와 함께 권문해의 자필일기 ‘초간일기’도 보물 제879호다. 이 책은 1580년부터 1591년까지 12년간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을 소상하게 기록한 일기다. ‘초간일기’는 ‘대동운부군옥’ 집필을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기록한 노트라고 할 수 있다. 1582년 2월 15일 일기에는 역병이 번지기 시작해 차례를 지내지 못해 죄송하다는 내용이 나온다. 나라 전체에 전염병이 번져 제사를 지내지 못하는 일은 유림으로서 식음을 전폐하는 일과 다름없었으리라.

1587년 10월 27일 일기에서도 당시 유행하던 역병 이야기를 거론한다. 그 무렵 그는 ‘대동운부군옥’의 편찬을 마무리할 때였는데 아들이 역병에 걸려 세상을 뜨는 일이 벌어지고 만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그도 일찍부터 경험했을까. 올겨울에 나는 밖으로 나돌아다니지 않고 방에 틀어박혀 그 국역본을 읽어 볼 생각이다.

초간정에서 예천 권씨 종택이 있는 마을까지 나 있는 농로를 나는 아직 걸어 보지 못했다. 그 길을 지금보다 품위 있게 보수한다면 16세기 권문해가 걷던 길을 우리도 따라 걸을 수 있을 것이다. 초간종택은 경북 북부지방 종가의 형태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가옥이다. 이곳에 있는 백승각에는 ‘초간일기’와 ‘대동운부군옥’ 판목 수백 점이 보관돼 있다.

봄날, 서고에 쌓여 있던 고서들을 꺼내 바람을 쐬고 햇볕에 말리고 먼지를 떠는 일은 이 집안 대대로 장손이 맡았다. 이 일을 포쇄(曝?)라고 한다. 500년 동안 이어진 이 좋은 습관이 이 집안의 전통이 됐다고 들었다.

그 일을 도맡아 하던 13대 종손 권영기 어르신이 올해 2월에 별세했다. 선비 집안의 종손으로 예를 갖추어 손님을 맞이하고 국가의 보물들을 극진하게 다루던 분이다. 그분이 떠나시던 때는 나라에 역병이 창궐하기 시작하던 때라 신문 지상 어디에 한 줄도 소개되지 않았다.

얼마 전 찾아가 본 초간종택은 여전히 상중(喪中)이었다. 사랑채 툇마루로 올라가는 입구는 짚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벽에는 상복이 걸려 있었다. 장례 때 소임을 맡은 이들의 이름을 종이에 적어 대청 벽에 길게 붙여 놓고 있었다. 몇 백년 전의 시간이 아직 거기 머무르고 있었다.
2020-12-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