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현 시인
7:35,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이 생각났다. 그 동화의 주인공 ‘잎싹’은 찔레덤불에서 청둥오리 알을 부화했다. 이 녀석에게도 그런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지게 될까.
하지만 희망은 내 편이 아닌 듯했다. 녀석은 풀덤불 속에서 미동조차 하지 않았다. 넓고 거친 야생의 풀숲으로 녀석은 해방된 게 아니었다. 비좁은 닭장이 오히려 안전했는지 모른다. 닭장으로 돌아오지 못하면 족제비나 오소리의 추격에 시달릴 수 있다. 들고양이도 암탉을 가만 놔두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십여분 지나자 풀잎 끝이 조금 흔들렸고 녀석이 조금씩 발걸음을 떼기 시작하는 게 보였다.
7:50, 나는 궁리 끝에 펜스와 풀숲 사이에 5미터쯤 되는 각목을 걸쳐 놓았다. 이 각목을 다리 삼아 마당으로 건너오너라. 하지만 녀석은 풀숲에서 천천히 풀씨들을 쪼아 먹을 뿐이었다. 귀환하는 일에는 전혀 관심이 없어 보였다. 각목을 타고 뱀이라도 마당으로 건너오면 어쩌나. 밤에 족제비가 슬그머니 마당으로 기어들어 오지나 않을까. 내가 오히려 조바심을 낼 뿐이었다.
8:00, 그리고 나는 머릿속으로 계산기를 두드리기 시작했다. 우리 집에서 키우는 열여덟 마리의 닭 중에 암탉 한 마리가 없어지면 내게 얼마만 한 손해인지를 말이다. 나는 암탉을 구할 생각은 하지 않고 옹졸한 인간이 돼 가고 있었다. 그까짓 닭 한 마리 때문에. 김수영이 생각났다.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그러면서도 마당 밖의 암탉에게 환심을 사기 위해 모이를 한 줌 던져 주었다.
8:30, 잠적한 지 삼십여분 만에 암탉이 나타났다. 나는 이번에는 수돗가에서 호스를 끌고 가 수압을 높인 뒤에 닭에게 마구 뿌려댔다. 어떻게든 내가 걸쳐 놓은 각목 쪽으로 녀석을 몰아 볼 생각이었다.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에 놀라 녀석이 다시 풀숲으로 숨어들었다.
8:35, 드디어 암탉이 바깥 쪽 각목 끝에 매우 조심스럽게 발을 얹었다. 이제 마당 안쪽으로 놓인 각목을 타고 와서 폴짝 뛰어내리기만 하면 됐다. 제발 좀 움직여라.
8:40, 암탉은 한참을 망설이더니 각목 끝으로 발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 그래, 조금만 더 가까이 오너라. 각목은 녀석을 구해 줄 유일한 사다리였다.
8:45, 마침내 녀석이 각목의 맨 끝에 도달했다. 나는 휴대폰을 꺼내 촬영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암탉의 귀환을 성사시킨 나를 아내와 친구들에게 자랑하고 싶었던 것이다. 주머니에서 휴대폰을 꺼내드는 순간, 암탉은 내 기대와는 달리 원래 있던 풀숲 쪽으로 다시 몸을 돌리는 게 아닌가. 두 시간 가까이 녀석과 벌인 실랑이가 수포로 돌아가는 순간이었다. 참으로 허탈했다.
9:30, 늦은 아침밥을 먹고 나가 보았으나 마당 밖의 암탉은 보이지 않았다. 닭장 속에 있던 닭 몇 마리도 풀숲 쪽을 뚫어져라 바라보고 있었다.
10:00, 이틀 동안 바깥 일정이 있어서 나는 집을 떠났다. 마당을 나간 암탉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이튿날, 우리 집에 들른 동생에게 암탉의 안부를 물었더니 마당으로 저 혼자 들어와 있다고 했다. 후줄근하게 젖어 있는 녀석을 붙잡아 닭장으로 넣어 주었다는 것이다. 마음이 놓였지만 한 가지 의문이 생겼다. 마당을 나갔던 암탉에게 닭장은 안식처인가, 감옥인가.
2020-10-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