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담자에게 명화는 생물이에요. 자신의 마음 상태에 따라 살아 움직이지요.”
명화를 활용해 미술치료를 하는 권계영 서울예술심리상담센터 대표의 말이다. 그는 교통사고로 척추와 다리, 자궁을 크게 다쳤음에도 예술에 대한 열정을 꺾지 않았던 프리다 칼로, 정신질환으로 정신병원 입퇴원 생활을 반복했던 빈센트 반 고흐 등의 작품을 심리 치료에 활용하는데, 특히 대중에게 ‘절규’로 잘 알려진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작품은 내담자에게 큰 울림을 준다고 소개했다.
19일 105일의 대장정을 마치는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을 취재하면서 우연히 뭉크의 작품이 미술치료에서 자주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됐다. 처음엔 음울하고 공포스럽기까지 한 그의 작품이 치료에 쓰인다는 게 의아했지만 이번 전시를 누구보다도 자주 가까이서 취재하면서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뭉크는 사망할 때까지 팔십 평생을 독신으로 외롭고 고독하게 살았다. 아버지와 어머니, 2남 3녀의 형제자매 중 막내 잉게르를 제외하고 모두 뭉크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다섯 살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어머니를 잃었으며 엄마처럼 의지하던 누나 소피에 역시 같은 병으로 잃었다. 아버지에 이어 동생 안드레아스까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으며, 여동생 라우라 역시 뭉크보다 18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뭉크는 “나는 인류에게 가장 두려운 두 가지를 물려받았다. 허약함과 정신병이다”라고 할 정도로 평생 몸과 마음이 아팠던 사람이다. 류머티즘, 열병, 불면증에 시달렸으며 손가락을 관통하는 총상을 입기도 했다. 또 구스타프 클림트나 에곤 실레 같은 세계적인 미술가들을 요절하게 만든 스페인 독감에 걸리기도 했다. 평생 죽음에 대한 공포를 달고 살아야 했지만,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의 과업을 이어 갔다.
그럼에도 평생에 걸쳐 새로운 실험에 자신을 내던졌던 작가이기도 했다. ‘표현주의의 선구자’라는 호칭에 걸맞게 내면을 표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을 개발해 낸 것에 안주하지 않았다. 새로움을 향한 추동이 그를 살게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일례로 뭉크는 새로운 표현 매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많았는데, 1902년 구입한 카메라로 자신과 주변의 풍경을 기록하고 5분 남짓의 무성 영화를 제작했다. 이를 다시 ‘목욕하는 여인들’(1917) 등 회화에 적용해 보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 찾아왔던 뭉크 작품들을 다시 만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다른 전시처럼 하나 혹은 두 개의 미술관에서 작품을 대여해 왔다면 그 미술관을 찾아가면 될 것이지만, 전 세계 23개 소장처에서 온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언젠가 어딘가에서 다시 이 작품들을 만난다면 위안을 줬던 옛 친구를 만난 것처럼 반가울 것 같다. 그리고 기자가 느낀 것처럼 이번 전시를 함께한 관람객에게도 ‘일상의 성스러움’을 그린 뭉크의 위로가 닿았길 바라 본다.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
명화를 활용해 미술치료를 하는 권계영 서울예술심리상담센터 대표의 말이다. 그는 교통사고로 척추와 다리, 자궁을 크게 다쳤음에도 예술에 대한 열정을 꺾지 않았던 프리다 칼로, 정신질환으로 정신병원 입퇴원 생활을 반복했던 빈센트 반 고흐 등의 작품을 심리 치료에 활용하는데, 특히 대중에게 ‘절규’로 잘 알려진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작품은 내담자에게 큰 울림을 준다고 소개했다.
19일 105일의 대장정을 마치는 서울신문 창간 120주년 기념 전시 ‘에드바르 뭉크: 비욘드 더 스크림’을 취재하면서 우연히 뭉크의 작품이 미술치료에서 자주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됐다. 처음엔 음울하고 공포스럽기까지 한 그의 작품이 치료에 쓰인다는 게 의아했지만 이번 전시를 누구보다도 자주 가까이서 취재하면서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었다.
뭉크는 사망할 때까지 팔십 평생을 독신으로 외롭고 고독하게 살았다. 아버지와 어머니, 2남 3녀의 형제자매 중 막내 잉게르를 제외하고 모두 뭉크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다섯 살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어머니를 잃었으며 엄마처럼 의지하던 누나 소피에 역시 같은 병으로 잃었다. 아버지에 이어 동생 안드레아스까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으며, 여동생 라우라 역시 뭉크보다 18년 먼저 세상을 떠났다.
뭉크는 “나는 인류에게 가장 두려운 두 가지를 물려받았다. 허약함과 정신병이다”라고 할 정도로 평생 몸과 마음이 아팠던 사람이다. 류머티즘, 열병, 불면증에 시달렸으며 손가락을 관통하는 총상을 입기도 했다. 또 구스타프 클림트나 에곤 실레 같은 세계적인 미술가들을 요절하게 만든 스페인 독감에 걸리기도 했다. 평생 죽음에 대한 공포를 달고 살아야 했지만, 그는 끝까지 살아남아 자신의 과업을 이어 갔다.
그럼에도 평생에 걸쳐 새로운 실험에 자신을 내던졌던 작가이기도 했다. ‘표현주의의 선구자’라는 호칭에 걸맞게 내면을 표출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을 개발해 낸 것에 안주하지 않았다. 새로움을 향한 추동이 그를 살게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일례로 뭉크는 새로운 표현 매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많았는데, 1902년 구입한 카메라로 자신과 주변의 풍경을 기록하고 5분 남짓의 무성 영화를 제작했다. 이를 다시 ‘목욕하는 여인들’(1917) 등 회화에 적용해 보기도 했다.
이번 전시에 찾아왔던 뭉크 작품들을 다시 만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다른 전시처럼 하나 혹은 두 개의 미술관에서 작품을 대여해 왔다면 그 미술관을 찾아가면 될 것이지만, 전 세계 23개 소장처에서 온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언젠가 어딘가에서 다시 이 작품들을 만난다면 위안을 줬던 옛 친구를 만난 것처럼 반가울 것 같다. 그리고 기자가 느낀 것처럼 이번 전시를 함께한 관람객에게도 ‘일상의 성스러움’을 그린 뭉크의 위로가 닿았길 바라 본다.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
윤수경 문화체육부 기자
2024-09-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