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삼성의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주거 지원 사업인 희망디딤돌 대전센터 개소식에 다녀왔다. 현장에서 자립준비청년을 직접 만나진 못했지만 그들의 주거 공간, 공용 공간을 둘러보면서 이들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덜고 현재를 씩씩하게 살아낼 수 있겠다는 희망을 엿봤다. 개소식에 참석한 강기훈 청년희망팩토리 사회적 협동조합 이사장도 같은 마음이었을까. 동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강 이사장은 “뭔가 ‘보호는 종료됐지만 희망이 시작됐다’라는 기대가 된다”는 말로 마지막 축사를 시작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지표가 되면서 많은 기업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지만 왜 그 사업을 하는지, 어떻게 시작이 됐는지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축사자로 나선 이주영(개혁신당) 국회의원 당선인도 이 부분을 짚었다. 이 당선인은 “우리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기업들이 우리가 모르는 곳에서 하고 있는 이 많은 사회공헌에 대해 얼마나 큰 존경과 존중을 보여 왔는가”라고 반문하며 삼성 임직원에게 감사하다고 했다.
희망디딤돌 사업은 삼성 임직원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사회공헌 활동이다. 회사에서 받은 특별격려금 중 일부를 기부금으로 내놓은 뒤 임직원 투표로 선정됐다. 희망디딤돌이란 이름도 임직원들이 직접 지었다고 한다. 2016년 부산센터를 시작으로 전국에 확산하면서 지금은 11개 센터, 14곳이 운영 중이다. 지금도 임직원들이 해마다 월급의 일부를 기부금으로 약정해 지원하고 있다. 충북 청주, 인천에도 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임직원의 관심과 지지 덕분에 이 사업이 계속 굴러갈 수 있었던 것이다.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은 “삼성 회장이나 임원들이 낸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게 아니라 삼성 직원들이 스스로 돈을 모으고 그다음에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해서 시작된 사업이라는 데 의미가 크다”고 했다.
기업을 취재하는 산업부에 있다 보면 대부분의 기사가 경영진에 초점이 맞춰진다. 그러나 이 행사에 참석해 새삼 느낀 건 그 기업을 움직이는 주인공은 임직원이라는 사실이다. 각자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하는 임직원이 있기에 그 조직이, 리더가 빛을 발한다고 본다. 리더가 아무리 ‘돌격 앞으로’를 외쳐 봤자 임직원들이 따라 주질 않으면 끝난 거다.
삼성 반도체가 위기라고들 한다. 얼마 전에는 수장도 바뀌었다. 분위기를 바꿀 수는 있겠지만 지금 시대가 예전처럼 다그친다고 없던 경쟁력이 생기는 것도 아니다. 이전의 저력을 되찾으려면 임직원들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히든 히어로스’ 저자인 임형규 전 삼성전자 사장은 반도체업의 본질 자체를 ‘보텀업’이라고 했다. 현장이 문제점을 가장 잘 알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현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임 전 사장은 임직원들이 마음껏 얘기할 수 있게 하고 그 얘기를 귀담아듣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희망디딤돌 사업이 그 성공 사례다. 이 사업처럼 임직원들이 앞에 서고 회사는 뒤에서 잘 굴러갈 수 있게 하면 되는 거다. 초조하다고 ‘톱다운’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사태는 꼬일 뿐이다. 회사의 ‘히든 히어로’인 임직원에게서 답을 찾자.
김헌주 산업부 기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지표가 되면서 많은 기업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지만 왜 그 사업을 하는지, 어떻게 시작이 됐는지는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축사자로 나선 이주영(개혁신당) 국회의원 당선인도 이 부분을 짚었다. 이 당선인은 “우리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기업들이 우리가 모르는 곳에서 하고 있는 이 많은 사회공헌에 대해 얼마나 큰 존경과 존중을 보여 왔는가”라고 반문하며 삼성 임직원에게 감사하다고 했다.
희망디딤돌 사업은 삼성 임직원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사회공헌 활동이다. 회사에서 받은 특별격려금 중 일부를 기부금으로 내놓은 뒤 임직원 투표로 선정됐다. 희망디딤돌이란 이름도 임직원들이 직접 지었다고 한다. 2016년 부산센터를 시작으로 전국에 확산하면서 지금은 11개 센터, 14곳이 운영 중이다. 지금도 임직원들이 해마다 월급의 일부를 기부금으로 약정해 지원하고 있다. 충북 청주, 인천에도 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임직원의 관심과 지지 덕분에 이 사업이 계속 굴러갈 수 있었던 것이다. 김병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은 “삼성 회장이나 임원들이 낸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게 아니라 삼성 직원들이 스스로 돈을 모으고 그다음에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해서 시작된 사업이라는 데 의미가 크다”고 했다.
기업을 취재하는 산업부에 있다 보면 대부분의 기사가 경영진에 초점이 맞춰진다. 그러나 이 행사에 참석해 새삼 느낀 건 그 기업을 움직이는 주인공은 임직원이라는 사실이다. 각자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 하는 임직원이 있기에 그 조직이, 리더가 빛을 발한다고 본다. 리더가 아무리 ‘돌격 앞으로’를 외쳐 봤자 임직원들이 따라 주질 않으면 끝난 거다.
삼성 반도체가 위기라고들 한다. 얼마 전에는 수장도 바뀌었다. 분위기를 바꿀 수는 있겠지만 지금 시대가 예전처럼 다그친다고 없던 경쟁력이 생기는 것도 아니다. 이전의 저력을 되찾으려면 임직원들에게 물어야 한다.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히든 히어로스’ 저자인 임형규 전 삼성전자 사장은 반도체업의 본질 자체를 ‘보텀업’이라고 했다. 현장이 문제점을 가장 잘 알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현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임 전 사장은 임직원들이 마음껏 얘기할 수 있게 하고 그 얘기를 귀담아듣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희망디딤돌 사업이 그 성공 사례다. 이 사업처럼 임직원들이 앞에 서고 회사는 뒤에서 잘 굴러갈 수 있게 하면 되는 거다. 초조하다고 ‘톱다운’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사태는 꼬일 뿐이다. 회사의 ‘히든 히어로’인 임직원에게서 답을 찾자.
김헌주 산업부 기자
김헌주 산업부 기자
2024-05-2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