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주 전 ‘중국에 반환된 판다 푸바오를 서울대공원에서 볼 수 있게 해 달라’는 시민 제안이 논란이 됐다. 해당 제안은 서울시의 완곡한 거절로 일단락됐지만 지금도 ‘푸바오를 데려와 달라’거나 ‘혈세 낭비하지 말라’는 등의 논쟁이 종종 맞붙고 있다.
푸바오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애정 어린 시선으로 귀 기울이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푸바오에 열광하는 모습을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그저 판다 한 마리일 뿐인데 울고 웃고 왜 해외여행까지 가겠다는 건지 도통 모르겠다는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그중 하나였다. 중국 출장을 앞둔 홍 시장은 한 누리꾼이 “푸바오도 만날 건가”라고 묻자 “푸바오에 집착하는 분들의 속내를 모르겠다. 고향 간 판다에 불과한데”라고 답했다.
중국 당국이 판다를 외교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는 푸바오를 다시 데려오자는 제안이 합리적인지 논하려는 게 아니다. 푸바오를 둘러싼 열광과 반발은 취향이 무한하게 다양해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파열음이라는 점을 짚어 보고자 한다.
좋고 싫음의 가짓수가 비교적 단순하던 때가 있었다. TV 채널이 5개 이하였던 시절 직장인의 퇴근길을 재촉할 만큼 전 국민이 드라마 한 편에 울고 웃던 시절이 있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 먼 과거엔 한 나라, 한 문화권이 하나의 종교 또는 단일한 사상체계를 공유했다. 그 시절 남들과 다른 것을 좋아하거나 추구했다가는 따돌림을 받거나 박해를 받기 일쑤였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거쳐 대중의 시대를 지나온 우리는 ‘1인 미디어’ 시대에 들어선 지 이미 오래다. ‘국민 드라마, 국민 가수, 국민 여동생’은 이제 유물로만 남을 가능성이 크다. 그 자리를 팬덤 문화가 채웠다. 무한대의 채널은 곧 무한대에 달하는 취향의 원인이자 결과다.
그러나 ‘국민 ○○’ 시절의 기억이 남아 있는 우리는 다른 이들이 나와 전혀 다른 취향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온전히 체득하지 못한 것 같다. 그러니 아이돌 스타와 사랑에 빠지고, 판다에 울고 웃는 모습이 그저 ‘정신 나간’ 일로 여겨질 뿐이다. 사실 마음을 쏟는 대상만 다를 뿐 주말마다 빼놓지 않고 등산을 가거나 거금을 들여 희귀한 우표를 사들이는 취미와 다를 게 없는 모습인데 말이다.
이는 그저 개인 간 몰이해에 그치는 일이 아니다. 생각과 취향이 다양해진 만큼 정치적 요구도 다양해졌다. 과거에는 독재정권 타도나 기본권 보장 등 몇 가지 커다란 목표가 있었고, 2~3개의 정당이 각각의 정치적 요구를 한데 묶는 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정치적 요구가 분출하는 시대다. 예를 들어 환경보호론 안에서도 원전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갈릴 정도다.
그렇기에 각자의 취향이 무한히 다양해진 현실을 인정할 줄 아는 태도는 정치인의 필수 덕목이 됐다. 누군가의 취향을 ‘집착’으로 치부하며 이해가 안 된다는 태도는 갈등만 낳을 뿐이다.
중국 출장 중 공식 일정으로 판다 기지를 방문한 홍 시장은 푸바오를 대구대공원에 데려올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출장 전과 조금은 다른 모습이다. 실현 여부는 관계없다. 이러한 태도의 변화가 계속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진호 뉴스24 부장
푸바오 소식이 들려올 때마다 애정 어린 시선으로 귀 기울이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푸바오에 열광하는 모습을 이해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그저 판다 한 마리일 뿐인데 울고 웃고 왜 해외여행까지 가겠다는 건지 도통 모르겠다는 것이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그중 하나였다. 중국 출장을 앞둔 홍 시장은 한 누리꾼이 “푸바오도 만날 건가”라고 묻자 “푸바오에 집착하는 분들의 속내를 모르겠다. 고향 간 판다에 불과한데”라고 답했다.
중국 당국이 판다를 외교에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는 푸바오를 다시 데려오자는 제안이 합리적인지 논하려는 게 아니다. 푸바오를 둘러싼 열광과 반발은 취향이 무한하게 다양해지는 과정에서 나오는 파열음이라는 점을 짚어 보고자 한다.
좋고 싫음의 가짓수가 비교적 단순하던 때가 있었다. TV 채널이 5개 이하였던 시절 직장인의 퇴근길을 재촉할 만큼 전 국민이 드라마 한 편에 울고 웃던 시절이 있었다. 더 거슬러 올라가 먼 과거엔 한 나라, 한 문화권이 하나의 종교 또는 단일한 사상체계를 공유했다. 그 시절 남들과 다른 것을 좋아하거나 추구했다가는 따돌림을 받거나 박해를 받기 일쑤였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거쳐 대중의 시대를 지나온 우리는 ‘1인 미디어’ 시대에 들어선 지 이미 오래다. ‘국민 드라마, 국민 가수, 국민 여동생’은 이제 유물로만 남을 가능성이 크다. 그 자리를 팬덤 문화가 채웠다. 무한대의 채널은 곧 무한대에 달하는 취향의 원인이자 결과다.
그러나 ‘국민 ○○’ 시절의 기억이 남아 있는 우리는 다른 이들이 나와 전혀 다른 취향을 가질 수도 있다는 점을 온전히 체득하지 못한 것 같다. 그러니 아이돌 스타와 사랑에 빠지고, 판다에 울고 웃는 모습이 그저 ‘정신 나간’ 일로 여겨질 뿐이다. 사실 마음을 쏟는 대상만 다를 뿐 주말마다 빼놓지 않고 등산을 가거나 거금을 들여 희귀한 우표를 사들이는 취미와 다를 게 없는 모습인데 말이다.
이는 그저 개인 간 몰이해에 그치는 일이 아니다. 생각과 취향이 다양해진 만큼 정치적 요구도 다양해졌다. 과거에는 독재정권 타도나 기본권 보장 등 몇 가지 커다란 목표가 있었고, 2~3개의 정당이 각각의 정치적 요구를 한데 묶는 게 그리 어렵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정치적 요구가 분출하는 시대다. 예를 들어 환경보호론 안에서도 원전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갈릴 정도다.
그렇기에 각자의 취향이 무한히 다양해진 현실을 인정할 줄 아는 태도는 정치인의 필수 덕목이 됐다. 누군가의 취향을 ‘집착’으로 치부하며 이해가 안 된다는 태도는 갈등만 낳을 뿐이다.
중국 출장 중 공식 일정으로 판다 기지를 방문한 홍 시장은 푸바오를 대구대공원에 데려올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출장 전과 조금은 다른 모습이다. 실현 여부는 관계없다. 이러한 태도의 변화가 계속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진호 뉴스24 부장
신진호 뉴스24 부장
2024-04-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