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경호관은 단순한 보디가드가 아닙니다.’
대통령경호처가 공직박람회에서 밝힌 기관의 인재상을 보면 대통령 경호원은 완전무결한 ‘철인’(哲人)에 가깝다. ‘냉철한 판단력과 두뇌 순발력으로 통합 경호작전을 주도하는 현장 지휘자’이고, ‘확고한 국가관과 애국심, 글로벌 감각을 갖춘 소통형 인재’여야 한다.
더불어 임무를 위해 목숨을 바칠 용기가 있고, 철저한 자기관리로 항상 준비돼 있으며, 물질보다 명예를 소중히 하고, 배려와 공감의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니 이 정도면 플라톤이 말한 철인 그 자체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경호원의 이미지는 태권도, 유도, 합기도 등 단수를 합쳐 10단쯤 되는 무술 유단자, 만능 스포츠맨이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철인’(鐵人)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과거 경호원들이 보여 준 무술 시범이 매스컴을 타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됐을지도 모른다. 경호처는 임기 초 대통령 부부 앞에서 경호 시범을 선보였는데, 대통령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를 새삼 깨닫는 순간도 바로 이 시범 행사를 보고 나서부터라고 한다.
이번 정권에서는 사라졌다는 과거 청와대의 임기 초 경호 시범 기사를 찾아보면 이를 지켜본 역대 대통령들은 “앞으로는 경호관 말을 잘 듣도록 하겠다”며 180도 달라진 경호관을 내비친다. 엄숙주의를 바꿔야 한다며 ‘낮은 경호’, ‘열린 경호’를 말하고 심지어 ‘경호처 폐지’를 공약으로 내건 대통령도 있었지만, 폭탄 테러와 같은 실제 상황을 가정하고 몸을 날리는 경호원들의 모습을 한 번 보고 나면 그런 안이한 생각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당선인 신분이 되는 순간부터 붙기 시작하는 ‘1급 경호’가 처음에는 어색하고 귀찮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경호와 함께 한 몸처럼 5년을 살아야 하는 것이 우리 대통령의 운명이다.
24시간 묵묵히 대통령이라는 오직 한 사람을 위해 일하는 역할을 누가 깎아내릴 수 있을까.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만큼 시기도 많고 오해도 많은 게 경호일지도 모르겠다. 정권마다 경호처장 경질 얘기가 안 나온 적이 없었던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대통령 축사 도중 소리를 지르다 카이스트 졸업생이 끌려 나간 ‘입틀막’ 경호 사태를 보면 앞서 말한 ‘통합 경호작전을 주도하는 현장 지휘자’, ‘소통형 인재’와 같은 이상적인 경호 인재상과는 거리가 있는 것 같아 아쉽다. 그 때문에 대통령 메시지도 소동에 가려 부각되지 못했다.
물론 퇴장당한 학생이 진보정당의 대변인이었다고 하니 행동의 순수성이 의심스러울 수도 있겠다. 누군가에게는 인생에 단 한 번뿐인 졸업식에서 소리 지른 행동에 대해 여론이 마냥 쉽게 지지하지만은 않을 것도 같다.
그렇다고 대통령 신변에 직접 위해를 가하기 어려운 거리에서 꼭 그렇게 입을 틀어막고 쫓아내야 했을까. 진보당 강성희 의원처럼 대통령의 손을 잡고 놓지 않는 경호상 위해 행위가 있었는지도 의문이다.
대통령 경호관은 단순한 보디가드가 아니라고 하지 않았던가. 냉철한 판단력과 두뇌 순발력으로 사태를 다시 복기해 봤으면 좋겠다.
안석 정치부 차장
대통령경호처가 공직박람회에서 밝힌 기관의 인재상을 보면 대통령 경호원은 완전무결한 ‘철인’(哲人)에 가깝다. ‘냉철한 판단력과 두뇌 순발력으로 통합 경호작전을 주도하는 현장 지휘자’이고, ‘확고한 국가관과 애국심, 글로벌 감각을 갖춘 소통형 인재’여야 한다.
더불어 임무를 위해 목숨을 바칠 용기가 있고, 철저한 자기관리로 항상 준비돼 있으며, 물질보다 명예를 소중히 하고, 배려와 공감의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니 이 정도면 플라톤이 말한 철인 그 자체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경호원의 이미지는 태권도, 유도, 합기도 등 단수를 합쳐 10단쯤 되는 무술 유단자, 만능 스포츠맨이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철인’(鐵人)이다.
이러한 이미지는 과거 경호원들이 보여 준 무술 시범이 매스컴을 타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됐을지도 모른다. 경호처는 임기 초 대통령 부부 앞에서 경호 시범을 선보였는데, 대통령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를 새삼 깨닫는 순간도 바로 이 시범 행사를 보고 나서부터라고 한다.
이번 정권에서는 사라졌다는 과거 청와대의 임기 초 경호 시범 기사를 찾아보면 이를 지켜본 역대 대통령들은 “앞으로는 경호관 말을 잘 듣도록 하겠다”며 180도 달라진 경호관을 내비친다. 엄숙주의를 바꿔야 한다며 ‘낮은 경호’, ‘열린 경호’를 말하고 심지어 ‘경호처 폐지’를 공약으로 내건 대통령도 있었지만, 폭탄 테러와 같은 실제 상황을 가정하고 몸을 날리는 경호원들의 모습을 한 번 보고 나면 그런 안이한 생각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당선인 신분이 되는 순간부터 붙기 시작하는 ‘1급 경호’가 처음에는 어색하고 귀찮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이 경호와 함께 한 몸처럼 5년을 살아야 하는 것이 우리 대통령의 운명이다.
24시간 묵묵히 대통령이라는 오직 한 사람을 위해 일하는 역할을 누가 깎아내릴 수 있을까.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만큼 시기도 많고 오해도 많은 게 경호일지도 모르겠다. 정권마다 경호처장 경질 얘기가 안 나온 적이 없었던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대통령 축사 도중 소리를 지르다 카이스트 졸업생이 끌려 나간 ‘입틀막’ 경호 사태를 보면 앞서 말한 ‘통합 경호작전을 주도하는 현장 지휘자’, ‘소통형 인재’와 같은 이상적인 경호 인재상과는 거리가 있는 것 같아 아쉽다. 그 때문에 대통령 메시지도 소동에 가려 부각되지 못했다.
물론 퇴장당한 학생이 진보정당의 대변인이었다고 하니 행동의 순수성이 의심스러울 수도 있겠다. 누군가에게는 인생에 단 한 번뿐인 졸업식에서 소리 지른 행동에 대해 여론이 마냥 쉽게 지지하지만은 않을 것도 같다.
그렇다고 대통령 신변에 직접 위해를 가하기 어려운 거리에서 꼭 그렇게 입을 틀어막고 쫓아내야 했을까. 진보당 강성희 의원처럼 대통령의 손을 잡고 놓지 않는 경호상 위해 행위가 있었는지도 의문이다.
대통령 경호관은 단순한 보디가드가 아니라고 하지 않았던가. 냉철한 판단력과 두뇌 순발력으로 사태를 다시 복기해 봤으면 좋겠다.
안석 정치부 차장
안석 정치부 차장
2024-02-2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