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기 사회부 기자
“다른 건 못 해 줘도, 돈은 부족해도 가족이 돼 줄 순 있다는 마음으로 키웠다.” “아이를 보내고 일주일을 앓아누웠다. 친부모에게 돌아간 것이 잘된 일이지만 헛헛한 마음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다.” “아이 친엄마가 아직 양육에 서툴러 지금도 가끔 찾아가 도움을 준다. 한 가정이 다시 세상에 존재할 수 있게 돼 그것만으로 기쁘다.”
위탁부모들은 헌신과 희생을 감내하고 있었지만, 하나같이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고 몇 번씩이나 강조했다. 자신이 맡아 기르는 아이에게 상처가 되지 않도록 기사를 써 달라는 당부도 여러 번 했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일을 어떠한 관계도 없는 사람이 오롯이 떠맡는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버려지거나 학대당해 누구의 보살핌도 받지 못했던 아이들은 위탁부모의 품에서 ‘가족’의 의미를 느끼고 있었다.
아이를 키우는 게 힘든 건 여느 부모와 마찬가지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아이들이 자신들의 삶 속에 들어오면서 느낀 행복과 가족들이 겪는 변화를 말할 땐 얼굴에서 웃음이 떠나지 않았다. ‘남의 아이’를 키우면서 어쩌면 누구보다 힘들 수도 있을 이들의 얼굴은 누구보다 밝았다. 무엇이 그렇게 행복한지를 물어보지 않아도 될 정도로 그들의 미소는 모든 대답을 대신했다.
‘가족이 돼 주고 싶다’며 부모를 자처하는 이들도 만났다. 괜한 일에 나서는 게 아닐까 하는 두려움과 걱정에도 예비 위탁부모들은 “거창하고 대단한 일을 하려는 건 아니다”, “둘째(위탁아동)는 가슴으로 품어서 첫째처럼 키우고 싶다”고 했다.
보호가 필요한 아이, 그리고 그런 아이를 맡아 기르는 위탁부모.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정위탁 제도는 좀처럼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아이를 생각하면 주변에 추천하고 싶지만, 제도만 생각하면 그럴 수 없다”는 한 위탁부모의 말에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월 30만~50만원의 양육보조금은 지방자치단체 곳간 사정에 따라 지급되지 않을 때도 있었고, 지역마다 달랐다. 기초생활 수급자인 위탁아동 앞으로 나오는 급여는 사용 내역을 입증하기 위해 일일이 영수증까지 챙겨야 한다. 책임만 짊어진 위탁부모들은 아이만 생각하면서 그 모든 걸 감내하고 있었다.
“표(票)가 안 되니까 그런 것 아니겠어요?”
복지 일선에 있는 한 공무원의 자조 섞인 푸념은 가정위탁 제도가 외면받는 이유를 함축하고 있었다. 정부나 지자체는 정책 대상자가 소수인 가정위탁보다 다른 복지사업에 더 관심을 둔다. 아이들은 선거에서 표를 행사할 수 없고, 위탁부모는 혈연·비혈연 다 합쳐도 2022년 기준 1만명이 조금 넘는다.
표가 되지 않고, 티가 나지 않아 국가와 지자체가 21년째 외면하는 사이 보호가 필요한 아이들을 품을 수 있는 가정위탁이라는 제도는 누군가의 헌신에 기대 유지됐다.
세상에 던져진 아이들을 품는 일은 소수의 헌신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해야 할 일이다.
2024-01-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