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국 산업부 차장
러시아ㆍ우크라이나 전쟁 탓에 항로를 우회해 14시간으로 늘어난 비행시간 내내 내적 갈등이 이어졌다. 짧은 영어 실력에도 접근해 볼 것인가, 맨 끝자리에 앉은 승객이 1등석 승객을 어떻게 만날 것인가, 그가 만나 준다면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 머릿속으로 ‘섀도잉 인터뷰’를 반복하다 승무원들이 착륙을 앞두고 기내를 정비하는 틈을 이용해 작전을 개시했다.
걱정과 달리 그는 매우 호의적이었다. 승무원을 통해 전달한 메모지와 명함을 받은 그가 다시 승무원을 통해 기자를 자신의 자리로 불렀다. 긴장과 당황의 사이였을까. 준비했던 질문들은 하얗게 증발해 버렸고 한국 출장 소감 등 단순한 질문을 몇 개 던졌다. 그는 당일 용산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나고 돌아가던 길이었다. 베닝크 CEO는 “반도체 업계에 대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확인하는 ‘환상적인 시간’을 서울에서 보냈다”고 했다.
지난 휴가의 기억이 소환된 건 지난 15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경영진이 토로한 고충을 접하면서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 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합니다.”
삼성의 미래 혁신기술 연구를 전담하는 SAIT(옛 종합기술원) 김기남 회장의 말이다. 1983년 2월 8일 반도체산업 진출을 세계에 알린 창업주 호암 이병철 회장의 ‘도쿄선언’ 이후 34년 만인 2017년 미국 인텔을 누르고 글로벌 매출 1위에 오른 삼성전자이지만, 기업 경쟁력 강화에 필수인 신규 인력 양성과 확보는 삼성의 능력 밖 일이라는 뜻이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도 한국의 인력난을 호소했다. 그는 “최근에 반도체학과에 입학하기로 했다가 학생들이 안 들어왔다고 한다”면서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5만 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부회장이 언급한 학과는 삼성전자가 연세대에 개설한 시스템반도체공학과다. 등록금 전액과 생활비 지원, 삼성전자 입사 보장 등의 혜택에도 올해 정시 모집 1차 합격자 전원(10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추가 합격자들로 정원은 채워졌지만 1차 합격자 대부분 동시 합격한 의·약대를 택한 것으로 풀이되면서 업계에서는 기업의 자구책인 반도체 계약학과가 ‘수요 없는 공급’ 아니냐는 자조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6월 10년간 반도체 인재 15만명 양성을 골자로 ‘반도체 인력 양성 범부처 특별팀’을 꾸렸다. 반도체 기업의 세액공제율을 높이는 내용의 특별법도 마련했다. 정부의 지원 의지 자체는 강한 것 같다. 그러나 실행되지 않는 의지는 무용하다. 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대만이 참전한 반도체 전쟁에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지원이다.
2023-02-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