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융아 기획취재부 기자
반면 추운 날씨 속 현장을 돌아다니면서 때때로 눈총을 받아 가며 어렵사리 취재한 기사에 반응이 없으면 영 허탈하다. 발로 뛴 기사는 진솔하고 깊이가 있지만 그런 기사가 반드시 포털에서 인기가 많은 건 아니다.
올해 새로 생긴 중견 기자 칼럼을 쓰게 되면서 ‘빼박’ 10년차가 돼 버린 사실을 깨달았다. “저는 중견 기자가 아닙니다”라고 우겨 봤지만 후배들에게 수습 ‘하리꼬미’(경찰서에서 숙식하며 취재하는 기자들 은어) 시절의 흑역사를 마치 ‘이게 기자야’라는 느낌으로 늘어놓거나 ‘너희는 김영란법 이전을 모르지?’라고 말한 뒤엔 스스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세대가 조금 움직였음을.
지난 10년간 언론계에도 변화가 있었다. ‘나 때만 해도’ 수습 기간 중 3~4개월은 경찰서에서 숙식을 하면서 밤새 경찰서와 지구대를 돌며 취재와 보고를 반복했다. 집에는 일주일에 한 번 갈 수 있었고 잠은 두세 시간 숙직실 같은 곳에서 타 언론사 수습기자들과 섞여 쪽잠을 잤다. 그게 하리꼬미다.
그런 혹독한 과정을 거치면서 기사 쓰는 능력이 획기적으로 늘었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기자가 얼마나 쉽지 않은 일인지, 이 일의 무게를 알게 됐다. 주 52시간제 시행과 코로나19 여파로 수십 년 이어 오던 하리꼬미는 사라졌다.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 생기면서 출입처와의 저녁 회식 문화도 대폭 줄었다. 이 법이 시행되면 취재원과의 접촉 기회가 줄어 취재가 어려워질 거란 우려가 나왔지만 실제 이로 인해 뉴스의 질이 떨어졌는지는 모르겠다.
그사이 기자 수도 엄청나게 늘어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최신 보고서를 보면 2020년 말 신문기자(인터넷신문 포함)의 수는 2만 9243명이다. 매체 수는 10년 전보다 82.9% 증가(2776→5078개)했다. 이 정도로 공급 경쟁이 치열한 산업군이면 품질이 좋아지거나 혁신이 일어나야 할 텐데 10년, 20년 전보다 신문이 더 좋아졌다는 얘기는 들어 보지 못했다. 매체가 많아졌다고 해서 시민의 알 권리가 더 확대됐는지도 의문이다. 그렇다고 기자의 일이 수월해진 것도 아니다.
10년차 언저리 기자들이 느끼는 위기감은 상당하다. 그 위기감이 어디서 오냐면 우리의 노동력이 줄줄 새고 있음을 절감하는 데서다. 매일 같이 발을 동동거리며 기사를 마감하지만 포털에서 보면 제목만 조금씩 다른 기사가 이미 수십, 수백 건이다. 그중에는 더 분석적이고 차별화된 기사가 분명 있겠지만 독자가 포털 페이지만 보고 이를 구분하기는 쉽지 않다.
발제 단계부터 기사 작성, 편집까지 여러 차례 회의와 검증을 거쳐 만드는 종이 신문의 기사와 같은 언론사의 이름으로 나가는 온라인 기사의 저널리즘 잣대가 다른 것도 여전히 이해 불가다.
지난해 말 국내 언론인 의식 조사에 따르면 기자 10명 중 6명(58.5%)은 사기가 저하됐다고 답했다. 가장 큰 이유는 ‘언론인으로서의 비전 부재’(58%)였다. 마감 후에도 노트북을 덮지 못했다. 우리가 애써 지키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우리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열심히 기사를 쓰는 것인지 자문자답해야 한다. 10년이 되었건만 중견기자의 문턱을 자신 있게 넘기가 쉽지 않다.
2022-01-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