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내년 첫 2조원대 예산…AI 홈택스·탈세 제보 포상금↑

국세청, 내년 첫 2조원대 예산…AI 홈택스·탈세 제보 포상금↑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4-09-13 15:17
수정 2024-09-13 15: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세청, 내년 예산 2조 40억원 편성…2.7%↑
지능형 홈택스 구축…탈세 제보 포상금 현실화

이미지 확대
강민수 국세청장이 12일 세종시 국세청 대강당에서 열린 2024년 하반기 전국 세무관서장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9.12 연합뉴스
강민수 국세청장이 12일 세종시 국세청 대강당에서 열린 2024년 하반기 전국 세무관서장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9.12 연합뉴스


국세청이 내년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능형 홈택스를 구축하고 탈세 제보 포상금도 현실화한다. 이를 위해 처음으로 2조원이 넘는 예산안을 짰다.

국세청은 내년 예산안을 올해(1조 9512억원)보다 2.7%(528억원) 늘어난 2조 4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12일 밝혔다.

내년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홈택스 고도화를 추진하기 위한 예산 80억원을 편성했다. 홈택스 고도화는 AI·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납세자 중심의 지능형 서비스다. 신고 화면을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구성하고, 신고서를 자동으로 채워주는 ‘자동 채움’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다.

납세자별로 필요한 내용을 보여주는 개인화 콘텐츠를 확대하고, 부가가치세 신고와 연말정산 간소화 상담 때 ‘AI 상담’도 도입한다. 탈세 제보 포상금 예산은 120억원에서 211억원으로 늘려 상금을 현실화한다.

디지털 취약계층의 전자신고 등을 안내하는 ‘납세자 세금 신고 지원 사업’도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 예산은 지난해 대비 4억원 늘린 38억원을 반영했다. 현재 위탁인력 120명을 130명까지 늘린다. 증원인력 10명을 수도권 외 지역에 신규 배치해 고령층이 많은 지역의 납세 편의를 지원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