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출신 아내, 2년 연속 중국 출신 아내 앞질러
지난해 다문화 혼인이 7년 만에 ‘깜짝’ 반등해 전년보다 200여건 늘었다. 다문화 부부 중 외국인 아내의 출신국은 2년 연속 베트남이 가장 많았다.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17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 건수는 2만 1917건으로 전년보다 208건(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혼인은 한국인(귀화자 포함)이 외국인과 결혼하거나 귀화자끼리 결혼한 경우를 말한다. 다문화 혼인은 2010년 3만 5098건에서 2016년 2만 1709건으로 6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소폭 늘었다. 지난해 한국인 간 혼인건수가 6.7%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의미 있는 수치다. 이에 따라 지난해 다문화 혼인이 전체 혼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3%로 전년 대비 0.6% 포인트 상승했다. 다문화 혼인 비중이 8.3%를 차지한 것은 2013년 이후 4년 만이다.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 출신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27.7%로 가장 많았고, 중국(25.0%), 태국(4.7%) 순이었다. 베트남 출신 아내가 2016년에 이어 이번에도 중국 출신 아내를 앞질렀다. 태국 출신 아내는 지난해보다 1.4% 포인트 늘어 증가세가 확연했다. 외국인 남편 국적은 중국이 10.2%로 가장 많았고 미국(6.4%), 베트남(2.7%) 순이었다.
다문화 혼인 연령대를 보면 평균 초혼 연령은 남편 36.1세, 아내 28.1세였다. 남녀 간 연령 차이는 8.0세로 남녀 간 연령차가 여전히 크다. 남편 혼인 연령은 45세 이상이 전체의 26.4%로 가장 많았다. 아내의 연령은 20대 후반이 27.7%로 가장 많았다. 연령차를 보면 남편 연상 부부가 77.7%로 가장 많았고, 아내 연상은 16.1%, 동갑은 6.2%를 차지했다.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 부부는 39.5%로 전년보다 0.7% 포인트 줄었다.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0.6%)·전북(9.4%) 순으로 높고, 세종(5.4%)·대전(6.0%) 순으로 낮았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어린 신부’가 사회 문제가 되면서 법무부가 결혼 이민자 비자 발급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으로 다문화 혼인 건수가 지속해서 감소했다”며 “그러나 한류 열풍으로 최근 베트남, 태국 혼인이 증가하면서 건수가 소폭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다문화 출생아수는 지난해 1만 8440명으로 전년보다 5.1%(991명) 감소했다. 다문화 출생아 수는 2012년(2만 2908명) 이후 줄곧 하락세다.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2%로 전년보다 0.4% 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8년 통계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전체 출생률 자체가 크게 떨어졌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김 과장은 “모수인 전체 한국 출생아 자체가 큰 폭으로 하락해 다문화 출생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큰 의미를 부여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다문화 이혼은 1만307건으로 전년보다 324건(3.0%) 감소했다. 다문화 이혼은 2011년 1만 4450건을 정점으로 매년 하락세다. 다문화 이혼이 전체 이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7%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감소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평균 결혼생활 지속기간(결혼 후 이혼까지 동거 기간)은 7.8년으로 전년 대비 0.4년 늘었다. 조사를 시작한 2008년 대비로는 4.1년 증가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