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가전 박람회 IFA 2024
삼성 스마트싱스·반려로봇 ‘볼리’LG ‘씽큐 온’과 이동형 허브 ‘Q9’
신제품보다 AI 가전 연결성 집중
가족 돌봄 기능도 현지 호평 받아
“세계 최초 제품 안 내놔” 지적에
“中 기업들의 베끼기 문제 때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IFA 2024에서 각사의 인공지능(AI) 로봇을 활용해 달라진 생활의 변화를 그리는 데 집중했다. 삼성전자의 AI 로봇 ‘볼리’(왼쪽 사진)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음성으로 인식해 그 결과를 빔 영상으로 띄워 알려 준다. LG전자의 AI 로봇 ‘Q9’(오른쪽)은 스크린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그림과 같은 창작물에 대한 감상 등 감정까지 표현할 수 있는 ‘공감 지능’ 로봇이다.
“유럽과 중국 기업들은 여전히 ‘제품’을 보여 줬다면, 삼성과 LG는 인공지능(AI)이 녹아든 ‘삶’을 제시했다. 쇼의 재미보다는 기술이 가진 힘을 보여 줬다.”
9일(현지시간) 유럽 최대 정보기술(IT)·가전 박람회 ‘IFA 2024’가 열리고 있는 독일 대규모 전시장 ‘메세 베를린’에 마련된 삼성전자 전시관에서는 생활 속에 녹아든 AI 기술이 삶의 질을 어디까지 높여 줄 수 있을지를 짐작케 했다. LG전자는 사람의 감정까지 이해하는 ‘공감 지능’ 가전을 선보이며 ‘사람을 위한 AI’를 강조했다. 글로벌 가전시장을 선도하는 두 기업 모두 신기술, 신제품 공개를 통한 흥미보다는 지금까지 개발된 AI 기술이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갈지를 제시하는 데 집중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홈 허브인 스마트싱스와 AI 반려로봇 ‘볼리’를, LG전자는 스마트홈 허브 ‘씽큐 온’과 이동형 AI홈 허브 ‘Q9’을 각각 전시관 전면에 내세우며 AI를 통한 가전의 연결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AI 로봇 볼리는 2020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세계 최대 규모 IT·가전 박람회)에서 처음 공개된 제품으로, 장착된 렌즈를 통해 벽면 등에 빔을 쏴 실시간 교통 정보, 가정 내 전력 사용 상태 등을 보여 주는 등 더욱 확장된 기능이 눈길을 끌었다.
가전을 통한 가족 돌봄 기능도 현지의 호평을 받았다. 따로 사는 부모님이 냉장고 문을 열거나 TV 리모컨을 조작하는 등 부모님 집안에 감지된 사람의 활동이 사전에 등록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 등을 통해 전달된다. 장시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전화 통화까지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원격으로 로봇청소기에 장착된 렌즈를 통해 집안 상황을 살필 수도 있다. 모든 제품에는 스크린과 렌즈가 부착돼 있어 냉장고, TV 등으로 화상 통화도 할 수 있다.
LG전자는 인공 지능을 넘어 기기가 사용자의 감정, 사용 환경까지 이해하는 공감 지능을 표방한다. “하이 LG, 에어컨 온도 24도로 맞춰 줘”와 같은 구체적인 명령어가 아닌 “하이 LG, 더워”라고 일상의 언어로 말하면 가정의 모든 기기를 제어하는 스마트홈 허브 씽큐 온이 평소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온도나 그날의 기온, 습도 등에 맞춰 에어컨 온도를 조절하고,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집을 비우면 가동 중이던 가전의 전원을 끈다.
이동형 AI홈 허브 ‘Q9’은 스크린에 표현되는 눈으로 상황에 맞춘 감정을 나타내고, 바퀴가 달린 두 다리로 균형을 잡고 몸을 앞뒤로 흔드는 등 단순 자율 주행을 넘어선 동작이 가능하다. 약속 시간에 늦지 않게 도착하려면 몇 시에 집을 나서야 하는지 알려 주는 것은 물론 택시도 호출할 수 있다. 어린 자녀가 그린 그림을 Q9에 보여 주면 그림의 내용과 분위기에 맞는 대화를 아이와 주고받을 수 있고, 밤에 잠들기 전 동화책 표지를 보여 주면 책의 내용을 Q9이 다정한 목소리로 읽어 준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개별 제품 개발보다는 각 제품의 연결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는 서비스 제공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7일 현장 간담회에서 “삼성 가전은 고객 경험 위주로 나아갈 것이며 이제 ‘세계 최초, 세계 최고’ 등의 제품 발표는 안 할 계획”이라고 말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4㎏의 세탁물을 49분 만에 건조할 수 있는 독일 밀레의 T2 노바 에디션 의류건조기, 접었을 때 두께 9.2㎜인 중국 아너의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 스마트폰 등 삼성과 LG가 이번 전시에 세계 최초 제품을 내놓진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중국 기업들의 베끼기 문제 때문이란 설명이다. 실제 삼성전자와 LG전자 전시관에서는 소속과 이름이 적힌 출입 카드를 상의나 다른 소품으로 가린 채 각사의 제품을 꼼꼼하게 촬영해 가는 중국 기업 관계자들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2024-09-1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