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유전자 데이터·자금 유출 우려
中 기업 제재할 ‘생물보안법’ 추진
북미 비중 큰 우시, 퇴출 가능성에
세계 최대 美 바이오 행사도 불참
국내 기업 반사이익 기대감 커져
삼바, M&A·美 시설 인수 등 전망
6일 한국바이오협회 등 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인 우시바이오로직스와 우시앱텍은 다음달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 불참하기로 했다. 두 기업은 지난해까지 매년 이 행사에 전시 부스를 설치하고 홍보해 왔다.
이들이 불참을 결정한 것은 현재 미국 의회가 추진중인 생물보안법이 자신들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물보안법은 미국 연방기관이 중국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그룹과 그 자회사들, 중국인민해방군과 연계된 우시앱텍과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이른바 ‘적대적 해외 바이오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들에게 미국의 연방자금이 유입되고 미국인 유전자데이터가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생물보안법은 지난 1월 미국 상·하원이 공동 발의했는데 이미 상원 국토안보위원회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하원도 필수 입법 패키지에 포함시킬 계획이어서 연내 입법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법안이 발의되자 BGI그룹은 “자신들은 개인 소유이며 중국 정부나 군대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주장은 거짓”이라며 법안이 미국 기업 독점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라고 공개 비난했다. 우시앱텍도 “법안에 잘못된 조사결과가 포함돼 있다. 우리 사업은 보안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법안이 통과되면 지난해 매출의 47% 가량을 북미에서 벌어들인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사실상 퇴출될 가능성이 높다.
바이오 업계의 미중갈등이 격화하고 미국 정부가 자국 내 제조를 강조하자 글로벌 CDMO 업체는 미국 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를 이어 가고 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2022년 미국 내 바이오 제조 강화를 위한 행정명령을 발표했는데 그 후속 조치로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은 “5년 내에 저분자 원료의약품(API)의 25%를 미국 내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명시했다.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내 제조역량을 키우겠단 의미다.
세계 1위 CDMO 기업인 스위스 론자는 지난 3월 미국 내 로슈의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12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지난 4월엔 일본 최대 CDMO 기업인 후지필름 다이오신스 바이오테크놀로지가 미국 내 제조시설 확장을 위해 12억 달러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2022년 기준 세계 바이오의약품 매출 62.9%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다.
이런 환경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중장기적으로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당장 체감하긴 이르지만 생물보안법으로 우시바이오로직스와 거래를 할 수 없어 고객사가 이탈할 경우 같은 아시아권의 삼성바이오로직스로 올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인수합병(M&A)이나 미국 내 시설 인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05-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