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120개 기업 설문조사
“대기업의 최저가 입찰경쟁 규제나 중소기업 세제지원 등 중소기업 보호책이 필요하다.”(중소 의류업체 A사)“인건비가 오르는 만큼 원가 변동분이 대기업 납품단가에 공정하게 반영돼야 한다.”(자동차 부품업체 B사)
기업들이 가장 부담스럽다고 꼽은 경영 환경도 ‘최저임금 인상’(30.8%)이었다. 다음으로는 신규 채용 확대(24.2%), 비정규직 정규직화(16.7%), 복지정책 확대(15.8%), 근로시간 단축(12.5%) 순서였다. 최저임금 인상 충격에 따른 보완책으로 기업들은 ‘중소기업 세제혜택 및 인건비 지원’(3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런 요구는 중소기업(36.3%)이 대기업(25.0%)보다 훨씬 많았다.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28.3%) 주문은 대기업(40.0%)이 중소기업(22.5%)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하지만 노동계는 업종별 차등 적용을 거세게 반대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하도급업체 단가 인하 요구 제재 및 납품단가 인상’(23.8%)을 많이 꼽았다. 대기업 하청업체를 경영하는 D씨는 “최근 삼성이 최저임금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해 주겠다고 했는데 이런 대기업이 더 많아져야 한다”면서 “납품단가 반영도 중소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에 대해서는 ‘경기 침체로 인한 수출 및 내수부진’(53.3%)을 제외하면 ‘정부의 지나친 규제’(26.7%)가 가장 많았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규제 타파’를 외치지만 실천으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어 현장에서는 ‘규제 대못’을 하소연하는 것이다.
기업들은 공무원과 금융권의 ‘갑질’이 여전하다고 토로한다. ‘갑의 횡포’를 경험한 곳을 묻는 질문에 공무원 18.3%, 금융권 10.0%, 이익단체 8.3%, 블랙컨슈머 7.5%, 정치권 5.0% 순서로 답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사회적기업 대표는 “바지락 양식을 하고 있어 담보가 없는 걸 뻔히 알면서도 은행이 담보를 요구하고 대출을 해 주지 않아 낙담했다”고 말했다. 심지어 “공공기관 공무원이 뒷돈을 요구했다”는 ‘고백’도 있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8-02-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