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불경기에 고객 지갑 비어간다…4대 은행 잠재 부실 여신 1년 새 13% 늘어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5-02-12 09:55
수정 2025-02-12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3개월 연체 여신 7조 1140억

이미지 확대


돈을 빌린 차주들이 불경기 속 상환 능력을 잃어 가면서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의 잠재 부실 여신이 급증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에서 1개월 이상, 3개월 미만 연체된 요주의 여신은 총 7조 114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6조 2920억원)보다 8220억원 늘어난 수치로, 증가율이 13.1%에 달한다. 4대 은행 전체 여신 중 요주의 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해 말 0.49%로, 전년 말 0.47%에서 0.02% 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하나은행의 증가율이 가장 두드러졌다. 하나은행의 요주의 여신은 2023년 말 2조 460억원에서 지난해 말 2조 4740억원으로 20.9% 뛰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1조 5070억원으로 1년 사이 13.2% 늘었고, 우리은행도 1조 6890억원으로 같은 기간 12.9% 증가했다. 국민은행은 1조 4440억원으로 전년보다 1.8% 정도 늘었다.

은행은 여신을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등 다섯 단계로 나눠 관리한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고정이하여신(NPL)에는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여신이 포함된다. 요주의 여신은 부실화 직전 단계로 본다.고정이하여신 역시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3조 9490억원으로 1년 전(3조 3860억원)보다 16.6%(5630억원) 늘었다. 지난해 우리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이 7810억원으로 1년 사이 무려 38.0%나 폭증했고,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16.2% 늘어난 7810억원으로 집계됐다. 4대 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5%에서 0.27%로 올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