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클릭아트
지난해 60세 이상 다중채무자의 대출 잔액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60대 이상의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 말 80조 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 72조 8000억원보다 10% 넘게 뛰었다.
다중채무자는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을 이용 중인 차주를 의미한다. 이 대출 잔액이 늘어난 것은 전 연령대에서 60대 이상이 유일했다.
같은 기간 30대 이하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140조 5000억원에서 134조 4000억원으로 오히려 4.3% 줄었다. 40대는 189조 8000억원에서 186조 5000억원으로 1.7%, 50대는 163조원에서 156조 2000억원으로 4.2% 각각 감소했다.
차주 수 자체도 60대 이상만 크게 늘었다. 60대 이상 다중채무자 차주 수는 2023년 말 60만 2000명에서 지난해 3분기 말 63만 4000명으로 5%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대 이하는 138만 3000명에서 137만 6000명으로 0.5%, 40대는 134만 4000명에서 131만 9000명으로 1.9% 각각 감소했다. 50대는 119만 6000명에서 120만 3000명으로 늘었지만, 증가율은 0.6%에 그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