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일 서울의 한 은행 앞에 디딤돌 대출 등 정보가 내걸려 있다. 연합뉴스
은행의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가운데, 제2금융권에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위주로 대출수요가 몰리며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11일 발표한 ‘11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전월대비 5조 1000억원 증가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4월(+4조 1000억원)부터 8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10월(+6조 5000억원)보다는 증가폭이 소폭 축소됐다.
이처럼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이 감소한 것은 은행권이 8월 이후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고 주택 거래가 감소하는 등 부동산 상승세가 둔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은행 대출규제 강화로 인해 제2금융권에서는 대출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달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전월대비 3조 2000억원 증가하면서 은행(+1조 9000억원)보다 큰폭으로 증가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10월(+2조 7000억원)보다 늘어나며, 지난 2021년 7월(+5조 7000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수치를 기록했다. 2금융권 중에서는 상호금융권(+1조 6000억원), 보험(+6000억원), 여신전문금융회사(+6000억원), 저축은행(+4000억원) 등 순으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다만 은행권 가계대출은 10월(+3조 8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특히 주담대 위주로 제2금융권 대출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전 금융권의 주담대는 전월대비 4조 1000억원 증가해 전월(+5조 5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도 같은 기간 +3조 6000억원에서 +1조 5000억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반면 제2금융권 주담대는 전월대비 2조 6000억원 늘며, 10월(+1조 9000억원)대비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