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유가·농산물 가격 상승이 뒤늦게 물가 끌어올려 … 물가 둔화 더딜 것”

한은 “유가·농산물 가격 상승이 뒤늦게 물가 끌어올려 … 물가 둔화 더딜 것”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12-01 11:33
수정 2023-12-01 16: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유럽보다 최근 3개월간 물가 상승 폭 커
“유가·농산물 가격 상승이 뒤늦게 물가에 충격 … 파급 영향 오래 갈 것”

이미지 확대
농산물 가격 오름세… 사과 17.2%↑
농산물 가격 오름세… 사과 17.2%↑ 올해 먹거리 물가 지수가 5% 이상 오르며 10년 만에 3년 연속 5% 이상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 과일가게에서 사과를 팔고 있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10월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상승하며 지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5%를 넘겼다. 과실 중에서는 귤(18.3%), 사과(17.2%)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2023. 11. 5.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이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보다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주요국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는 사이 우리나라는 하반기 들어 농산물의 공급 차질, 공공요금 인상 등이 뒤늦게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진단이다.

한국은행은 1일 ‘주요국 물가 상황 비교’ 보고서를 통해 “주요국 근원물가 상승률의 더딘 둔화 흐름에는 국가별로 차별화된 요인들이 자리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10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3.8%, 전년 동월 대비)은 미국(3.2%) 및 유로지역(2.9%)보다 높았다. 한은의 분석에 따르면 10월까지 최근 3개월만의 물가상승률은 우리나라(2.0%)가 미국(1.1%)과 유로지역(0.9%)을 상당 폭 웃도는 등 주요국보다 가파른 인플레이션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은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은 주요국에 비해 낮은 수준에서 둔화돼 왔으나, 물가상승률이 반등하던 지난 8월에 농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10월 상승률이 미국과 유로지역에 비해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농축수산물 가격이 상승하지 않았을 경우 최근 3개월간 물가상승률은 다른 국가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다고 한은은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공급충격에 따른 영향이 해소되면서 상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됐지만, 예상보다 강한 성장세와 타이트한 노동 시장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탄탄한 탓에 서비스 물가 상승률이 더디게 둔화하고 있다. 유로지역은 성장세는 미약하지만 공급충격의 효과가 지속되고 있고, 임금상승률이 높아 서비스물가의 높은 상승세가 인플레 둔화를 제약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정부, 생필품 물가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
정부, 생필품 물가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 정부, 생필품 물가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정부가 용량 축소 등을 통한 편법 가격인상을 의미하는 ‘슈링크플레이션’ 실태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19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과자를 고르고 있다. 2023.11.19
dwise@yna.co.kr
(끝)
반면 우리나라는 수요가 위축되면서 서비스물가의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그간 누적된 비용 압력의 영향으로 상품 가격의 둔화가 뚜렷하지 않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전쟁 등으로 비용 압력이 누적된 데다 하반기 들어 농산물 공급 차질과 국제유가 상승, 공공요금 인상 등이 한꺼번에 겹치면서 물가에 대한 파급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최근 주류와 여행, 숙박 등에서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으며 물건의 양이나 품질을 낮춰 실질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는 ‘슈링크플레이션’이나 ‘스킴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물가 둔화 흐름을 제약하는 요인이 된다는 지적이다.

한은은 “그간 전기·가스요금 인상 폭을 제한하고 유류세를 인하하는 등의 정부의 정책 지원이 비용 상승 충격을 완화해왔다”면서 “에너지 요금의 인상 시기가 이연되면서 이에 따른 파급 영향이 오래 지속되고 있으며, 유류세 인하 폭이 축소될 경우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