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잠실일대의 아파트 단지의 모습.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주택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전국에 집을 갖고 있는 개인은 1367만명으로 1년 새 35만 9000명(2.7%) 늘었다. 집을 한 채만 갖고 있는 사람은 1155만 1000명으로 84.5%였다. 두 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11만 9000명(15.5%)으로 1년 새 13만 9000명(7%) 증가했다. 다주택자 비율은 전년 대비 0.6% 포인트 상승했다.
다주택자를 보면 2주택자가 166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3주택자가 27만 2000명, 4주택자가 7만 2000명, 5주택 이상 소유자가 11만 5000명으로 조사됐다.
시 지역에서 다주택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로 주택 소유자 중 22.0%(3만 1800명)가 다주택자였다. 서울 서초구가 20.9%, 제주 서귀포시가 20.6%, 세종시가 20.3%, 서울 종로구가 20.2%로 뒤를 이었다.
다주택자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남 창원시로 4만 6900명이나 됐고 경기 용인시와 수원시도 각각 4만 4200명, 4만 1800명으로 4만명이 넘었다.
2016년 무주택자에서 지난해 집을 갖게 된 사람은 98만 1000명이었고 집을 소유하다가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53만 6000명이었다.
특히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2016년보다 지난해 소유 주택의 총 자산가액이 늘어난 사람이 978만 7000명이나 됐다. 자산 증가액이 5000만원 이하인 사람은 813만명, 5000만~1억원은 61만 5000명, 1억~3억원은 84만명, 3억~5억원은 14만 1000명, 5억 초과는 6만 1000명으로 나타났다. 집주인 중 104만 2000명은 1년 새 집값이 1억원 이상 오른 것이다.
가구 기준으로 보면 전국 1967만 4000가구 중 집을 가진 가구는 1100만 가구로 1년 새 25만 7000가구(2.4%)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도 55.9%로 같은 기간 0.4% 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반대로 보면 전체 가구의 44.1%는 내 집이 없는 것이다.
지역별 가구 주택 소유율을 보면 울산이 63.2%로 가장 높았고 경남(61.9%), 경북(60.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은 49.2%로 가구 중 절반 이상은 집이 없었다. 대전과 세종도 각각 53.6%로 낮았다.
공시가격 기준으로 가구의 주택 자산가액을 보면 6000만원 이하가 183만 3000가구, 6000만~1억 5000만원 이하가 359만 4000가구, 1억 5000만~3억원 이하가 324만 3000가구, 3억~6억원 이하가 168만 5000가구 등으로 조사됐다. 6억~12억원 이하는 51만 2000가구, 12억원 초과는 13만 3000가구로 집계됐다.
주택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10분위)와 하위 10%(1분위) 가구의 집값은 32.5배나 차이가 났다. 10분위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8억 1200만원이었다. 평균 2.67채의 집을 갖고 있었고 평균 주택 면적은 124.1㎡였다. 반면 1분위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2500만원에 불과했다. 평균 0.97채의 집을 소유했고 주택 면적도 62.5㎡로 좁았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