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전용 브랜드 ‘이노뷔’(EnnoV). 금호타이어 제공
금호타이어가 지난해 매출액 4조 5381억원, 영업이익 5906억원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프리미엄 제품 공급, 글로벌 유통 확대, 브랜드 인지도 강화 등을 통해 국내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의 입지 강화에 힘쓴 결과라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해 유력 매거진에서 연달아 우수한 평가도 받았다. 독일 내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아데아체(ADAC) 잡지사 주관의 여름용 타이어 성능 테스트에서 ‘엑스타 HS52’가 종합 3위(Good 등급)를,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트빌트(Auto Bild) 주관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엑스타 HS52가 종합 4위(Good 등급)를, 아우토빌트 SUV 전문 자매지인 아우토빌트 알라드(Allad) 주관의 SUV 여름용 타이어 테스트에서 ‘엑스타 PS71 SUV’가 종합 4위를 차지했다. 미국 JD파워에서 실시한 승용차 신차용 타이어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글로벌 18개 타이어 브랜드 중에서 3위에 이름을 올렸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전기차 전용 브랜드인 ‘이노뷔’(EnnoV)를 론칭하고 ‘이노뷔 프리미엄’을 필두로 ‘이노뷔 윈터’, ‘이노뷔 슈퍼마일’ 등을 신제품으로 출시했다. ‘마제스티 X’ 등 프리미엄 신제품도 선보였다.
한편 금호타이어는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타이어 개발에 적극 활용해 컴파운드 및 성능을 예측하는 ‘타이어 디지털 트윈(twin)’ 환경을 구축했다.미래차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도심항공모빌리티(UAM)용 타이어 ‘에어본 타이어’, ‘에어리스 타이어’ 개발을 추진 중이고, 센서를 부착한 스마트 타이어 시스템도 발빠르게 상용화를 모색하고 있다. 스마트 타이어는 내부에 장착된 센서모듈을 통해 주행 중 타이어 상태를 모니터링해 타이어와 관련한 위험성을 알려준다. 또한, 금호타이어는 2045년까지 타이어 원재료 전체를 지속가능한 재료로 전환하는 목표를 세우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2023년 지속가능한 재료 비중 80%의 타이어 개발에 성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