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혼자 산다’에 고용률도 줄었다

‘나 혼자 산다’에 고용률도 줄었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1-09 02:31
수정 2024-01-09 0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은, 미혼 인구·노동 공급 분석

10년 새 미혼 9%P↑고용 0.3%P↓
30년 뒤 미혼 인구 절반 확대 땐
2031년부터 경제활동률 꺾일듯
저학력男·고학력女 미혼율 높아
이미지 확대
낮아지는 혼인율이 우리 경제의 노동 공급까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 공급 장기 추세’에 따르면 평생 결혼하지 않는 인구의 비중을 의미하는 ‘생애미혼율’이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상승하는 사이 노동 공급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연령층(30~54세)의 고용률은 0.3% 포인트, 주당 근로시간은 0.1시간 감소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미혼율은 2000년 27.9%에서 2020년 31.1%로 20년 사이 3.2% 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31.7%에서 36.0%로, 여성은 24.4%에서 26.3%로 뛰었다.

혼인 여부와 경제활동 간의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엇갈렸다. 기혼 남성의 2013~2023년 평균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이 미혼 남성보다 각각 13% 포인트, 16% 포인트 높았다. 반면 같은 기간 기혼 여성의 평균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여성보다 각각 19% 포인트, 16% 포인트 낮았다. 그럼에도 지난 10년간 미혼 인구가 늘어 여성의 노동 공급이 증가한 것보다 남성의 노동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커 전체 노동 공급이 줄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장기적으로는 혼인율이 낮아지고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확대될수록 출산율이 떨어져 미래의 노동 공급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현재의 성별·연령별 경제활동 참가율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20년 79.1%였던 30~54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35년 80.1%로 정점을 찍은 뒤 2040년 80.0%로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30년 뒤 미혼 인구의 비중이 현재의 2배 수준(남성의 60%·여성의 50%)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활동 참가율은 이보다 4년 앞선 2031년 79.7%로 정점을 찍은 뒤 2040년 79.3%로 가파르게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혼인율을 높이는 것뿐 아니라 미혼 인구의 특성에 맞게 원격근무와 유연근로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구 활용, ‘워라밸’ 중시 등 ‘MZ세대’가 요구하는 근로 환경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성별 미혼율을 학력에 따라 살펴보면 남성은 저학력(전문대졸 이하)일수록, 여성은 고학력(4년제 대졸 이상)일수록 결혼을 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했다. 남성은 저학력자의 미혼율(30.9%)이 고학력자(27.4%)에 비해 높은 반면, 여성은 고학력자(28.1%)의 미혼율이 저학력자(15.9%)의 두 배에 가까웠다.
2024-01-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