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마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1.6%→1.4%로 낮춰

한은마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1.6%→1.4%로 낮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3-05-25 10:10
수정 2023-05-25 1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제성장률 전망치 0.2%포인트 하향 조정
KDI·IMF·아시아개발은행보다 낮아

이미지 확대
개회 선언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개회 선언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개회 선언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6년 만에 준공된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본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3.5.25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끝)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6%에서 1.4%로 하향 조정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무역 적자가 14개월째 이어지는 등 한국 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지면서 한은마저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대열에 합류했다.

한국은행은 25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2월(1.6%)에서 0.2%포인트 낮춘 1.4%로 발표했다. 앞서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12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1.5%로 낮췄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매우 더디다면, 1% 초반 정도까지 성장률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금융연구원(KIF)은 지난 9일 경제성장이 기존 전망치인 1.7%에서 0.4포인트나 낮춘 1.3%에 그칠 것이라면서 “민간 소비가 양호한 흐름을 보이겠지만 수출·설비투자 부진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내 주요 기관 가운데 가장 낮은 전망치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는 각각 1.5%를 제시했다. 이는 글로벌 주요 IB들의 전망치보다는 높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1분기 경제성장률 발표 직후 나온 IB 보고서에서 모건스탠리(1.7%)와 골드만삭스(1.6%)은 1%대 후반을 예측했지만 BNP파리바는 1.4%, JP모건은 1.1% 등 1%대 초반까지 눈높이를 낮춘 곳도 있다. 쏘시에테제네랄(SG)은 0.8까지 내다봤다. 이들 5개사의 평균 전망치는 1.3%다. 국제 신용평가사 S&P는 1.1%를 제시했다.

이같은 1%대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었던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대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중국의 리오프닝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더디고, 내수 위주의 성장을 보이면서 우리 기업의 수혜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성장률 전망치를 끌어내리고 있다.

정부와 한은은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IT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수출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은은 주요 반도체 공급업체들의 감산과 재고 조정 등을 고려하면 하반기에 글로벌 반도체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