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장률
꽁꽁 얼어붙은 민간소비 6.4% 급락2분기 수출 타격… 성장률 더 꺾일 듯
전문가 “L자형 저성장으로 갈 것”
한국은행은 23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1.4% 감소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졌던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코로나19가 갉아먹은 성장률은 2.0% 포인트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1분기 전체 성장률은 -1.4%인데 정부가 올 예산을 당겨 쓴 효과로 1분기 성장률 중 정부 기여도가 (플러스) 0.5~0.6% 포인트 된다”면서 “정부 기여도를 빼면 실제 코로나19가 성장률에 미친 영향은 -2.0% 포인트가량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0%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1분기 수출은 2.0% 감소해 나름 선방했지만 2분기엔 이보다 하락폭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글로벌 수요가 감소한 데다 수출길도 막혔기 때문이다. 성장률도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외환·금융위기 때는 환율이 올라 수출이 위기 극복의 돌파구였지만 코로나19 위기는 세계 경기가 살아나기 어려워 수출로 이겨 낼 수 없다”며 “L자형 저성장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선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돼 앞으로 소비가 늘 거라는 장밋빛 전망도 나온다. 반면 2분기엔 소비와 수출은 물론 일자리와 가계소득, 투자까지 하락하는 복합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예상이 적지 않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9만 5000명 줄었고, 이달엔 감소폭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일자리가 줄면 가계소득도 줄고, 다시 소비가 위축되는 악순환에 빠진다. 매출이 급감한 기업들은 인건비를 비롯한 고정비에 쓸 돈조차 없는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을 늘리는 게 대안”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떠오른 비대면 소비와 원거리 수출이 아닌 지역 내 생산 확대에 우리 기업들이 빠르게 적응할 정책과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4-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