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서울 노인 24%, 가족 먹여 살린다

[단독] 서울 노인 24%, 가족 먹여 살린다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7-05-24 22:50
수정 2017-05-25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6%는 자산·연금으로 충당…“자식 부양받는다” 17% 그쳐

서울 강남에 사는 최모(67)씨 부부는 아직 결혼하지 않은 딸(36)과 함께 살고 있다. 8년 전 수도권에 직장을 얻어 독립했던 딸이 경제적 부담 때문에 얼마 전 다시 집에 들어왔다. “딸이 결혼기념일 같은 때 용돈은 주지만 생활비를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사실 부부만 살 때보다 돈이 더 드는데 결혼 비용을 덜 줘야죠. 우리야 부모를 모셨지만 요즘은 세상이 팍팍해 자식에게 도움을 줘야 하는 시대 아닙니까.”
이미지 확대
서울에 사는 노인(65세 이상) 4명 중 1명이 자식이나 손자를 부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식이 부모를 부양하던 관습이 바뀌어 ‘가족부양 노인 시대’가 된 셈이다. 하지만 가족부양 노인 중에 일자리가 있는 경우는 3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노인 일자리 정책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24일 서울연구원의 서울복지실태조사(2015년·설문)에 따르면 노인 452명 중 24.1%가 본인이 가계를 책임지는 가구주이며 자녀, 손자녀, 부모 등을 부양한다고 답했다. 4명 중 1명이 가족부양 노인인 셈이다. 노인이 자식의 부양을 받는 가구는 17%로 가장 적었고 노인 부부만 사는 경우 33.3%, 독거노인 가구는 25.6%였다.

가족부양 노인이 부양하는 가족은 자녀가 70.6%로 가장 많았고, 자녀·손자녀는 15.3%였다. 손자녀만 부양하는 경우는 4.9%였고 부모·자녀 4%, 부모·자녀·손자녀 3.2%, 부모 2% 순이었다.

30대 직장인 아들, 대학원에 다니는 딸과 사는 박모(63)씨는 “홀로 생활비를 부담하는 게 버겁지만 그렇다고 집값은 치솟고 일자리는 불안한데 어떻게 자식들보고 나가 살라고 하겠느냐”며 “답답하고 힘들어도 끝까지 부모의 역할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가족부양 노인 중 34.3%만이 일자리가 있다는 점이다. 서울연구원 관계자는 “나머지 65.7%의 노인 가구주는 기존에 보유한 자산이나 연금 등으로 가족을 부양하며 가계를 이어 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게다가 일자리가 있는 가족부양 노인 중에도 3명 중 1명은 임시·일용직 근로자(35%)였다.

가족부양 노인의 증가에 대해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평균수명이 늘고 청년 실업이 이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 은퇴자가 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을 부양하는 노인이 더 크게 늘고, 사회문제도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인성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본이나 독일처럼 민간기업도 퇴직 예정자의 경력 재취업을 위해 교육·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정부도 300인 이상 기업에 대해 전직지원 서비스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했지만 아직 실효성이 부족한 상황이다.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대부분의 노인 일자리가 생계를 유지하기에 턱없이 부족하고 질이 낮은 지금 상황에서는 정년연장 등과 같은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7-05-2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