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 “음주에 흡연은 ‘불에 기름붓기’…자살위험 최대 256배”

    “음주에 흡연은 ‘불에 기름붓기’…자살위험 최대 256배”

    평소 음주량이 과도하면서 담배까지 피우면 자살위험이 최대 256배까지 치솟는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살위험 측면에서 보면 음주에 흡연을 병행하는 게 ‘불에 기름을 붓는 격’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연세대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정명지(박사과정) 연구팀은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1천654명(남 9천729명, 여 1만1천925명)을 대상으로 음주와 흡연을 함께 할 때 자살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기분장애학회가 발행하는 공식 국제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AUDIT.이하 오디트)를 사용해 조사 대상자의 음주 상태를 평가했다. 보통 이 선별검사에서 8점 이상이면 문제가 있는 음주 습관으로, 16점 이상은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 음주로 본다. 논문을 보면 남성의 경우 현재 흡연 중이면서 오디트 점수가 20점 이상이면 흡연과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 견줘 자살 생각 위험이 83.7배에 달했다. 또 자살 계획을 세우는 위험은 현재 흡연 중이고 오디트 점수가 20점 이상인
  • 영화표로 헌혈 유도하는 대한적십자사

    170억 써 광고홍보 예산보다 50배 많아 “헌혈 자부심 갖게 국가차원 노력 필요” 10, 20대 헌혈이 급감하는 가운데 대한적십자사가 영화표를 비롯한 기념품에 의존해 헌혈을 유도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영화표 1+1 행사 개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영화표 행사를 열어 헌혈자를 모집한 혈액원은 2015년 5곳에서 올해 39곳으로 8배 가까이 늘었다. 날짜 수로 계산해 보면 2015년 31일에서 2016년 186일, 지난해 219일로 해마다 급증했고 올 9월까지 71일 동안 행사를 진행했다. 지난해 적십자사 결산 내역에 따르면 헌혈 장려를 위한 광고홍보 예산은 3억 4000만원인 데 반해 영화표 행사를 위해 투입된 예산은 170억원으로 격차가 50배나 됐다. 이렇게 받은 영화표는 인터넷 중고거래 카페에서 매매가 이뤄지는 등 헌혈의 순수한 의도를 훼손할 우려가 높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김 의원은 “사회가 헌혈하는 사람들에게 감사하고 헌혈자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문화를 만들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체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1
  • [이슈 플러스] “의료산업에 코인 접목하면 의료관광 새 지평 열 수 있어”

    [이슈 플러스] “의료산업에 코인 접목하면 의료관광 새 지평 열 수 있어”

    “가상화폐로서 코인은 ‘산업 매개자’ 역할로 재조정돼야 합니다. IT분야의 신기술이라는 블록체인의 범주로 제한해서는 안 되는 겁니다. 산업체인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갖고 산업을 발전시키는 수단이자 역할을 중심으로 가상화폐를 봐야 합니다” 이는 생명을 살리는 의료코인으로 불리는 LCGC(라이프케어글로벌코인)의 윤영용 글로벌융복합마케팅유한회사(GCM HK) 대표의 말이다. 역사소설 근초고대왕 작가로 더 잘 알려진 윤 대표는 “중국의료관광방문단이 한국을 찾아 롯데월드타워를 방문한 것은 사드로 꽁꽁 얼어붙었던 한국 관광에 중국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는 것”이라며 “미주한인회와 의료관광 협약을 체결한 것도 미국 의료시장이 한국 의료관광을 인정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의료관광방문단은 중국 내 2만여 기업가 네트워크를 대표해 지난달 21일부터 22일 양일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중한글로벌대건강교류포럼에 참석, 롯데월드타워 10층 KMP헬스케어 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리젠성형병원을 시찰하는 관광을 했다. 또 지난 6일에는 미주한인회 총연 서남부연합회(The Korean-American Federation of South West States, U.S.A
  • “헌혈금지약물 복용자 혈액 168건 유통”

    기형아 위험이 있는 헌혈 금지약물을 복용한 사람에게서 채혈한 혈액이 수혈용으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정숙 민주평화당 의원이 대한적십자사의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 채혈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부터 올해 8월까지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로부터 채혈한 건수는 2287건으로 집계됐다. 헌혈 금지약물별로 살펴보면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는 여드름 치료제가 3563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1428건, 건선치료제 19건, 손습진치료제 6건 등의 순이었다. 이 중 실제 수혈용으로 출고된 사례는 168건이었다. 현재 적십자사는 금지약물 복용자로부터 채혈한 혈액의 출고를 막기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방부 등과 ‘혈액 사고방지 정보조회시스템’을 구축해 매일 금지약물 처방정보를 받고 있다. 하지만 관계기관과 정보공유가 실시간으로 이뤄지지 않고 하루동안 정보를 모아서 일괄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다보니 허점이 드러난 것이다. 헌혈 금지약물 처방정보가 혈액 출고 시점보다 늦게 수신되면 금지약물 복용자의 혈액이 출고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장 의원은 “수혈받는 환자의 안전을 위해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도록 시스
  • 박경서 적십자 회장 “북한 혈액원 건립 지원”

    박경서 적십자 회장 “북한 혈액원 건립 지원”

    대한적십자 차원에서 대북 혈액원 건립 지원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 출석해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대북 지원 관련 질의에 “혈액원 건립 지원계획에 대한 검토를 거의 완료했다”고 말했다. 남 의원은 “북한은 후진국형 감염병인 결핵과 말라리아가 창궐하고 북한 아동의 영양실조가 심각한 상태로 인도주의적 차원의 대북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보건의료 인프라가 매우 열악해 혈액원이 아닌 채혈소를 중심으로 급혈자를 모집해 채혈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이 북한 혈액원 건립 지원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힘에 따라 다음 달 열리는 남북적십자회담에서는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설치와 함께 혈액원 건립 등 보건의료분야 인도적 지원 사업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있지만 대한적십자 차원의 지원은 유엔 대북제제 등의 이유로 재개되지 못한 상태다. 대한적십자가 제출한 ‘북한 혈액사업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인민보건부에서 혈액 사업을 주관하고 조선적십자회는 급혈자 모집 홍보를 중심으로 채혈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혈액제제 생산, 검사, 공급 등의 역할은 하
  • 이국종 “파일럿에 전화해 ‘닥터헬기 소음’ 항의 욕설…돌아가라는 건 죽으란 말”
  • 병원진료비 ‘뻥튀기’ 5년간 4만1천740건…환자에 116억원 환불

    병·의원의 진료비 ‘뻥튀기’ 청구가 여전해 환자가 부당하게 냈다가 돌려받은 금액이 최근 5년간 116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진료비확인제도 처리현황’ 자료를 보면, 2013∼2017년 5년간 진료비확인 신청 건수는 11만6천924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13년 2만3천720건, 2014년 2만7천306건, 2015년 2만2천314건, 2016년 2만987건, 2017년 2만2천597건 등이다. 이 가운데 환불 결정 건수는 2013년 9천839건, 2014년 9천822건, 2015년 8천127건, 2016년 7천247건, 2017년 6천705건 등 5년간 총 4만1천740건이며, 평균 환불비율은 35.7%였다. 이 기간 전체 환불금액은 116억5천51만6천원이었다. 올해 들어서는 6월 현재까지 1만2천467건의 진료비확인 신청이 들어왔으며, 심사결과 3천116건이 부당청구로 확인돼 9억6천187만5천원을 환자들이 돌려받았다. 2013년부터 2018년 6월 현재까지 환자가 진료비확인 제도를 통해 환불받은 금액은 126억1천239만1천원이었다. 진료비확인 서비스는 환
  • 식약처 ‘2-Oxo-PCE’ 임시마약류 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마약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종물질 ‘2-Oxo-PCE’를 임시마약류(2군)로 신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2-Oxo-PCE’는 흥분감, 다행감 등 부작용을 야기하는 물질로 최근 일본에서 판매와 소지 금지 물질로 지정됐다. 이밖에 식약처는 에스칼린 등 21종에 대한 임시마약류 지정 효력 기간(3년)이 만료됨에 따라 이들 물질을 임시마약류로 재지정한다. 식약처는 2011년부터 임시마약류 지정제를 도입해 모두 189종을 지정했다. 이 가운데 ‘THF-F’ 등 96종은 의존성 여부 평가 등을 거쳐 마약류로 지정했다. 임시마약류로 신규 지정되는 물질은 마약과 동일하게 취급·관리된다. 소지, 소유, 사용, 관리, 수출·입, 제조, 매매, 매매의 알선 및 수수 행위 등이 전면 금지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노인진료비 9년새 30.8%에서 39.9%로 급증

    노인진료비 9년새 30.8%에서 39.9%로 급증

    유래 없는 고령화에 노인의료비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노인진료비 비중 추이’에 따르면 건강보험 총 진료비 대비 노인진료비 비중은 2008년 30.8%에서 지난해 39.9%로 9.1%포인트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 진료비는 34조 8690억원에서 69조 3382억원으로 98% 증가했으나, 노인진료비는 10조 7371억원에서 27조 6533억원으로 157.5% 증가했다. ‘연령별 진료비 추이’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은 70세 이상 연령층이 13.2%로 가장 높았다. 연령대별로 60대 이하가 8.2%, 50대 7.7%, 40대 4.7%, 30대 4.8%, 20대 4.5%, 10대 4.4%, 9세 이하 3.9%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진료비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1인당 연간 진료비는 136만 3000원이지만, 65세 이상에선 1인당 415만 4000원으로 전체의 3배나 됐다. 남 의원은 “‘노인의료비 전망’에 따르면 65세 노인 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
  • 외국인 1인당 연간 건보재정 적자 60만원

    외국인 1인당 연간 건보재정 적자 60만원

    외국인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는 연평균 40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100만원의 의료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1명당 60만원의 건강보험 재정 손실이 발생한다는 의미여서 보험료를 인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지역가입자는 지난해 기준 1인당 40만 2712원의 건보료를 냈다. 반면 1인당 건강보험 급여 청구액은 연평균 101만 4000원으로 2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급여 청구 상위 10%만 분류해 분석한 결과 1인당 96만원을 내고 620만원의 급여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적자폭이 500만원을 넘는다는 것이다. 외국인 지역가입자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보험 재정 적자는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2013년 935억이었던 적자폭은 지난해 1978억원으로 늘었다. 김 의원은 “정부가 외국인 지역가입자 건보료를 증액하겠다고 한 금액은 월 3000원에 불과하다”며 “보험료 기준을 크게 높여 적자폭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10년 이상된 CT·MRI·PET 30%”

    컴퓨터단층촬영기기(CT), 자기공명영상촬영기기(MRI), 양전자단층촬영기기(PET) 등 고가의 영상장비 10개 중 3개는 10년 이상된 노후장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0만명당 CT 보유대수는 38.2대, MRI 29.1대, PET 3.3대로 OECD 평균(2016년 기준 CT 23.4대, MRI 14.6대, PET 1.9대)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후 장비 비율이 많은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CT, MRI, PET 등 고가의 의료장비 3660대 중 10년 이상 된 노후장비가 30.1%인 1100대였다. 기기별로 CT는 1964대 중 31.8%인 624대, MRI는 1496대 중 26.9%인 402대, PET 200대 중 67.0%인 74대가 노후장비였다. CT는 3대 중 1대, MRI는 4대 중 1대, PET도 3대 중 1대꼴로 노후장비라고 남 의원은 설명했다. 남 의원은 “고가 의료장비에 대해 적정수준으로 수급을 조절하고 영상장비의 사용연한이나 영상품질 등을 평가해 수가보상 차등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현용
  • 흡연·음주·비만 관련 진료비 연간 9조원

    흡연, 음주, 비만 등 건강위험요인으로 인한 진료비가 한해 9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요 건강위험요인으로 인한 진료비 지출규모는 2016년 8조 9002억원으로 2014년 7조 2862억원에 비해 22.2%나 증가했다. 주요 건강위험요인은 흡연, 음주, 비만이다. 2016년 지출액은 그해 건강보험 총진료비의 13.7%, 건강보험료 수입의 18.7%, 담배부담금 수입의 4.7배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건강위험요인별로 지출규모를 보면, 비만 진료비가 4조 6203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51.9%를 차지했고, 흡연 2조 2484억원(25.3%), 음주 2조 315억원(22.8%) 등이었다. 성별로는 남자 진료비가 4조 8190억원(54.1%)으로 여자 4조 812억원(45.9%)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50~70대가 전체 진료비의 73.4%를 썼다. 질병군별로는 고혈압 진료비가 2조 993억원(23.6%)으로 가장 많았고, 당뇨병 1조 5054억원(16.9%), 허혈성심장질환 6828억원(7.7%), 허혈성뇌졸중 6820억원(7.7%), 기관지·폐암 3218억원(
  •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 70억 달러 돌파…화장품 40% 증가

    올해 상반기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 품 등 보건산업 수출액이 70억 달러를 넘어섰다. 중국 대상 화장품 수출이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전체 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18일 보건복지부의 ‘2018년 상반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71억 달러(7조 80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0.9% 증가했다. 흑자 폭도 커졌다. 무역수지는 2016년 흑자전환 이후 지난해 상반기 1억 800만달러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6억 82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분야별 수출액은 의약품이 22억 달러로 33.0%, 의료기기가 17억 달러로 13.3%, 화장품이 32억 달러로 40.6% 늘었다. 의약품 분야의 성장은 독일, 터키, 네덜란드 등을 대상으로 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화장품은 중국 수출이 63.4% 증가하면서 전체 성장을 이끌었다. 중국 대상 화장품 수출은 올해 2월까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 여파 등으로 28.1% 감소했지만 긴장관계가 완화되면서 3월부터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화장품 중에서는 기초화장품(17억 달러)이 전체 수출액의 53.3%를 차지
  • 내년 돼지 췌도 이종 이식 세계 첫 시도…선천성 질환 제1형 당뇨병 완치 치료법

    국내 연구진이 내년 1월 세계에서 처음으로 돼지 췌도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異種) 이식’을 시도한다. 박정규 2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장은 17일 서울대 의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제전문가들이 무균돼지의 췌도와 각막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사업단의 임상시험 계획을 심의한 결과 과학적·윤리적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임상시험 계획안 심의에는 세계이종이식학회와 세계이식학회 윤리위원회 등 이종 이식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돼지 췌도 이식은 선천성 질환인 ‘제1형 당뇨병’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내년에 돼지 췌도 이식 임상시험을 시행할 수 있게 되면 실명 환자를 대상으로 돼지 각막을 이식하는 임상시험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영화관 달콤 팝콘·콜라 세트는 ‘당 덩어리’

    면류 나트륨, 우동>라면>칼국수 順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라면인 신라면의 봉지당 나트륨 함량이 1790㎎으로 1일 나트륨 섭취 기준(2000㎎)의 90%나 됐다. 영화관에서 판매하는 달콤한 맛 팝콘(대)과 콜라(대) 세트에는 131~145g의 당이 함유돼 있었다. 혼자 먹으면 하루 당 섭취 기준(100g) 기준을 훌쩍 넘겨 섭취하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영양 안전관리’ 사업의 하나로 사람들이 많이 먹는 면류와 음료류, 영화관 팝콘에 대해 당·나트륨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판매순대로 면류는 라면 20개, 우동 10개, 칼국수 10개, 음료는 과일·채소음료와 탄산음료, 커피, 발효유류를 각 20개씩 선정했다. 영화관 팝콘은 CGV와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에서 판매되는 대(大) 크기의 팝콘 54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면류에서는 우동의 평균 나트륨 함량이 1724㎎(한 봉지당)으로 가장 높았다. 라면(유탕면) 1586㎎, 칼국수 1573㎎으로 나타났다. 국물이 있는 라면(1693㎎)은 그렇지 않은 라면(1160㎎)보다 훨씬 높은 나트륨 함량을 보였다. 음료는 100㎖당 탄산음료 10.9g, 과·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