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카이스트 큐브 위성, 지상국과 양방향 통신 성공

누리호 카이스트 큐브 위성, 지상국과 양방향 통신 성공

이슬기 기자
입력 2022-07-03 20:27
수정 2022-07-03 2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실제 기능이 없는 위성 모사체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2022.06.21 고흥=사진공동취재단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실제 기능이 없는 위성 모사체만 실렸던 1차 발사와 달리 이번 2차 발사 누리호에는 성능검증위성과 4기의 큐브위성이 탑재됐다. 2022.06.21 고흥=사진공동취재단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쏘아올린 카이스트 큐브 위성 ‘랑데브’가 3일 양방향 교신에 성공했다. 랑데브는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두 번째로 분리된 초소형 위성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카이스트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10분쯤 카이스트 지상국과 랑데브 간 실시한 양방향 교신이 성공했다.

카이스트 지상국은 이날 오전 2시와 오후 2시 40분쯤 전력공급 채널의 상태 변경, 시스템 모드를 대기모드에서 안테나 전개 모드로 변경할 것 등을 위성에 명령했다. 이날 오후 4시 10분쯤에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해 정상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사실을 확인했다.

랑데브는 방효충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초소형 인공위성이다. 가로 10㎝, 세로 10㎝, 높이 30㎝ 크기의 직육면체로, 무게는 3.2㎏이다.

주요 임무는 소형 지구관측 카메라로 지상을 촬영하고, S밴드로 촬영한 영상을 지상국으로 고속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위성의 3축 자세제어 기능을 검증한다. 지상국과 UHF/VHF(극초단파/초단파) 주파수를 활용한 통신도 시도한다.

랑데브는 지난 1일 오후 4시 38분쯤 성능검증 위성에서 분리됐다. 전날 오전 3시 42분쯤 대전 카이스트 지상국에서 랑데브의 첫 상태정보(비콘신호)를 받는 데 성공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