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원시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제11회 수원시 노인 일자리 채용한마당’에서 한 어르신이 채용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2.6.21 연합뉴스
3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이슈앤포커스 최신호 ‘노인의 사회적 불안과 함의’(곽윤경 불평등소득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에는 전국 65~74세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실렸다. 전체 응답자의 사회 불안은 3.49점(5점 만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불평등이 3.71점, 불공정·경쟁 3.41점, 불신·무망(희망감 없음) 3.19점, 적응·안전 3.05점으로 나타났다.
일하다 은퇴한 노인의 경우 적응·안전 불안 수준이 3.11점으로 평생 일한 적 없는 노인(3.04점)이나 은퇴하지 않은 노인(2.99점)보다 높았다. 이러한 불안은 은퇴 이후 노인이 스스로 새로운 삶에 적응해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회 불안은 은퇴 후 5년 미만 3.43점, 5~10년 미만 3.57점, 10~15년 미만 3.67점으로 상승하다가 15년 이상에는 3.42점으로 떨어졌다.
경제활동을 하더라도 불안을 느꼈다. 정규직의 사회 불안 인식은 3.34점이었으나 임시직과 일용직은 각각 3.61점과 3.83점이었다. 불평등도 정규직(3.6점)보다 임시직(3.9점)과 일용직(3.82점)이 높게 나타났다.
소득이나 재산이 높은 집단에서도 사회적 불안이 높았다. 적용·안전 영역에서는 4분위(2.96점)보다 5분위(3.08점)가 느끼는 불안이 높았다. 재산 구간별로도 불공정·경쟁은 5~10억원 구간(3.27점)까지 떨어지다가 10억원 이상(3.41점)에서 불안이 강해졌다. 다만 사회 불안 인식은 소득이나 재산이 늘수록 낮아졌다.
홍 부연구위원은 “은퇴는 5~15년 후까지 삶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사전에 노후를 준비하도록 맞춤형 노후 설계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면서 “사회적 불안과 소득·재산은 반비례하지 않아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특화된 전략을 설계해야 한다”고 짚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