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어린이병원 공공의사 부족
중증장애·저소득 아동 위한 시설
지원자 없어 세 번째 재공고 진행
“200명 병상 중 165명 밥도 못 먹어
의사 이탈 땐 아이들 생명 위험”
공공보건 시스템 붕괴 우려 커져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어린이병원은 지난해 10월부터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3명, 영상의학과전문의 1명을 두 차례 모집했다. 그러나 아무도 지원하지 않아 현재 세 번째 재공고 절차가 진행 중이다.
그동안 시립병원 등에서 일하는 공공의사는 민간에 비해 월급이 적고 업무가 힘들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이에 서울시가 2021년 공공의사 보수를 최대 40% 인상하는 등 처우 개선에 나섰지만 미달 사태가 반복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공공의사는 처우가 낮다는) 예전의 인식이 남아 있어 지원자가 많지 않아 안타깝다”며 “계속 공고 절차를 진행하면서 채용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특히 어린이병원의 경우 이미 대학병원이 겪고 있는 소아과 붕괴 현상과 맞물려 심각성이 더 커진다. 남민 어린이병원장은 “재활의학과와 정신건강의학과는 외래 진료이기 때문에 그나마 버티고 있다”며 “메이저 병원의 의료 공백을 메우려면 숙련된 의료진이 필요한데 당장 (어린이병원의) 소아과 이탈을 잡지 않으면 더 큰 위기가 닥친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2023년 전국 소아과 수련병원의 전공의 모집률은 15.9%(207명 모집에 33명 지원)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수도권의 대학병원조차 줄줄이 소아 진료를 축소하고 있는 가운데, 도미노처럼 위기가 번지면 공공의료에도 차질을 빚게 된다.
어린이병원은 약 200병상 규모로, 입원해 있는 165명 대부분이 뇌성마비 등 중증장애를 갖고 있다. 남 원장은 “165명 가운데 제대로 밥을 먹을 수 있는 아동은 한 명도 없으며 콧줄(비위관)로 영양을 공급하는 상황”이라며 “당장 의료진과의 연봉 협상을 앞두고 있는데 소아과 의사가 한 명씩 빠져나간다면 이 아이들의 생명이 위험하다”고 전했다. 그뿐만 아니라 어린이병원을 찾는 베이비박스 유기 무연고 아동과 저소득층 어린이들에 대한 의료지원 체계도 무너질 수 있다.
때문에 공공의사에 대한 보수와 근무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앞서 공공의사의 보수 하한액을 최대 40% 인상하고 상한액을 없앤 만큼 연봉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2023-01-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