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중환자 전원’ 커지는 반발
전원명령서 받은 210명 중 22명 사망
“정부 실책, 의료인·국민에 전가 안 돼”
재택치료 사망자 대응 매뉴얼도 시급
서울대병원 위기대응 중환자실 자료사진. 서울대학교병원 제공
인공호흡기나 인공심폐기(에크모)를 단 환자는 병상을 옮기는 몇 분 사이에 목숨이 위험해질 수 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가 환자의 생사는 아랑곳없이 코로나19 중환자실 가동률을 내리는 데에만 집착하다 보니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이라며 “간접살인이나 마찬가지”라고 꼬집었다. 전날 오후 5시 기준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병상 가동률은 77.7%로 지난 15일 가동률보다 3.7% 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환자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병상 가동률을 낮추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옮겨 갈 병실이 바로 생기는 것도 아니다. 코로나19 중환자가 일반 중환자실로 옮기면, 비(非)코로나 환자들이 갈 중환자실이 줄어든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20일 지나면 감염력이 없으니 ‘격리해제’해서 일반 병상으로 보내겠다는 것인데, 중환자실은 환자를 격리하는 곳이 아니라 치료하는 곳”이라며 “기능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 병상으로 가면 제대로 치료받을 수 없다. 그래서 숨진 환자도 주변에 있다”고 했다. 물론 의료인이 보기에 코로나19 전담병상에서 계속 치료해야 하는 환자는 소명절차를 거쳐 전원을 미룰 수 있다. 하지만 엄 교수는 “소명이 받아들여진다는 보장도 없다. 게다가 의료인이 환자당 1장 이상의 소명서를 내야 해 환자에게 쏟을 힘을 서류 작성에 쓰는 상황이 된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환자 전원을 현장 의료진에게 맡기라고 주문했다.
김 교수는 “정부가 효율적으로 병상 돌릴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병상 찾아보고 이송하는 것을 돕겠다고 나서야 한다”면서 “정부 실책으로 이 모든 사태가 벌어졌는데 그 책임을 의료인과 국민에게 전가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앞으로 병원 밖 코로나19 사망자가 늘어날 수도 있어 관련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경기 성남에선 코로나19 확진자가 재택치료 중에 사망했지만 유가족 확인이나 장례 절차에 대한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이틀 동안 방치된 일도 있었다. 현행 지침에는 의료기관에서 사망한 환자에 대한 대응 매뉴얼만 담겼다. 이날 0시 기준 3만 1686명이 재택치료를 받고 있다.
2021-12-27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