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먹을수록 높아지는 등산 비중...체중·체질량·허리둘레에 영향 커
연령대별 운동활동 비율. 개인정보위원회 제공.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이런 내용을 담은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번 사례는 한국임업진흥원 산림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산림치유 분야 첫 가명 정보 결합사례다. 산림과학원은 운동 활동별 건강개선 효과 분석을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의료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전문 기업 ‘비글’이 보유한 운동 데이터 8만여개를 가명 처리·결합했다.
연령대별로 운동 활동을 분석한 결과, 10대는 걷기, 20대는 자전거 타기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30대 이후부터는 걷기와 등산이 주된 운동 활동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등산, 걷기, 뛰기, 자전거 타기 등 운동 활동 가운데 등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는 14%였지만, 20대는 28%로 뛰었다. 이어 30대 31%, 40대 35%, 50∼70대 38%였다. 반면 뛰기 운동 비율은 10대 19%, 20대 15%, 30대 9%, 40대 6%, 50대 5%, 60대 4%, 70대 0.6% 등 점차 낮아졌다.
모든 운동에서 운동량·빈도가 증가할수록 혈압,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등 건강지표 대부분이 정상범위로 안정화했다. 입·내원·요양일수, 총 의료비 등 의료부담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체중·체질량·허리둘레 등의 건강지표에서는 등산 횟수·거리가 미치는 개선 효과가 다른 운동보다 크게 나타났다.
산림과학원은 향후 녹지율, 산림면적 등 산림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숲에서의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분석한다. 산림청은 숲을 활용한 국민 건강증진 방안 및 예방정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