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충돌)가 꼽히는 가운데 사고가 발생한 무안국제공항은 전국 14개 공항 가운데 조류충돌 예방 인프라가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다른 어느 공항보다 새 떼 출몰이 잦은 공항이지만, 새를 쫓을 각종 장비나 인력은 터무니없이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서울신문이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국내 공항의 조류충돌 예방활동 장비 현황’을 보면, 무안공항이 보유한 장비는 차량 1대, 폭음경보기 11대, 엽총 4정이 전부였다.
한국공항공사에서 주요 거점공항으로 관리하는 6곳에 포함된 무안공항과 나머지 김포·김해·제주·대구·청주공항을 비교해봐도 무안공항의 조류충돌 예방활동 장비는 가장 열악한 수준이었다. 다른 공항 5곳은 조류퇴치 차량이나 트럭을 4~6대 보유하고 있지만, 무안공항은 딱 1대만 보유하고 있다.
새 떼를 내쫓는 폭음경보기도 무안공항과 제주공항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거점공항들은 20~38대가 설치돼 있었다. 공포탄을 쏴 새를 쫓는 엽총도 김포·제주공항은 24정을 보유했지만, 무안공항은 고작 4정뿐이었다. 특히 무안공항은 해외에서 조류충돌 사고를 줄이는 데 효과를 보인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단 1대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청주공항이 열화상카메라를 2대, 김포·김해·제주공항이 1대씩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조류충돌 예방 전담인원(현원)도 무안공항이 가장 적었다. 김포공항이 24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청주공항은 8명이었지만 무안공항은 4명에 그쳤다.<서울신문 12월 30일자 12면>
철새도래지 인근에 있는 무안공항은 환경영향평가 등에서 조류충돌과 관련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받은 적도 있는터라 ‘사전 대비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무안공항은 공항지역에서 발생한 조류충돌 사고가 2022년 1건, 2023년 2건에서 지난해 7건으로 급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