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야학 가고, 돈 관리도 직접… 도자기공예 꿈 생겼어요”

[단독] “야학 가고, 돈 관리도 직접… 도자기공예 꿈 생겼어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04-18 21:02
수정 2019-04-19 02: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발달장애인 김수지씨의 홀로서기

김수지씨
김수지씨
18일 서울 종로구청 인근 커피숍. 알록달록 과일 음료가 진열된 주문창구에서 발달장애인 김수지(24·여)씨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 음료를 골랐다. 수지씨가 메뉴판에 적힌 음료 이름을 천천히 읽는 동안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코디네이터인 김유진(34·여)씨는 재촉하지 않고 음료를 선택하길 기다렸다. 고심 끝에 이날 수진씨가 고른 음료는 ‘플레인 요거트 스무디’다.

그저 음료수 한 잔일 뿐이지만 수지씨에게 ‘선택’이란 늘 새롭고 가슴 설레는 일이다. 중학생 때 장애인 생활시설에 입소해 6년을 생활하는 동안 수지씨는 ‘선택’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아왔다. 때가 되면 식사가 나오고, 시설 선생님이 골라준 옷을 입고, 시설에서 짠 시간표대로 움직였다.

수지씨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설에 있을 땐 뭘 산 적이 없었는데, 시설을 나오니 맛있는 것도 마음껏 사 먹고, 통장과 카드도 내가 관리한다”고 뿌듯해했다. 수지씨는 시설에 있던 친구가 자립해 그룹홈으로 가는 것을 보고 2016년에 용기를 내 시설을 나왔다. 이른바 ‘탈시설’을 한 지 4년째다. 지금은 가정집 형태의 ‘그룹홈’에 둥지를 틀고 장애인 3명과 함께 산다. 시설을 나온 지 얼마 안 됐을 땐 집에서 근처 골목까지 혼자 나가는 데 20여분이 걸렸다. 지금은 체육관과 병원을 혼자 다닌다. 수지씨는 “출근해 식탁을 닦기도 하고, 수건을 빨고, 야학도 간다”고 말했다.

강제구금과 폭행 등 인권 침해로 논란이 된 문제 시설이 아니더라도 장애인들에게 시설은 사회와 격리된 감옥 같은 곳이다. 김필순 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사무국장은 “죽지 않도록 사람의 생명을 연장해주는 공간일 뿐”이라며 “감옥은 출소 기일이라도 있지만 시설은 그런 것조차 없는 곳”이라고 말했다.

수지씨의 자립을 돕는 유진씨는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이웃들이 우리 그룹홈 때문이라고 지레 짐작하고서 항의한다”며 “한곳에 오래 머무르기가 어렵다”고 털어놨다. 수지씨는 요즘 꿈이 생겼다. 도자기 공예가 하고 싶다고 한다. 그룹홈을 나와 혼자서도 살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혼자 사는 것도 연습해야 해요”라고 미소 지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4-1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