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9월 20일(현지시간) 제77차 유엔총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은 연설문 원고에 ‘러·북’이라고 쓰여 있었기 때문에 그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읽은 것 같다”면서 자신의 짐작을 전제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러시아와 북한 군사 거래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 될 것”이라며 러시아를 북한보다 앞세워 언급했다. 이는 ‘북·러’로 통용되는 명칭을 ‘러·북’으로 바꾼 것이다.
대통령실은 북한과 러시아의 명칭 순서에 대해 정부가 정해 놓은 원칙이 없다면서도, 북한이 같은 민족이기 때문에 무조건 가장 먼저 호명하는 것은 윤석열 정부의 국정 기조와 맞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과의 관계에 따라 동맹국→우방국 순으로 호칭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이다.
고위 관계자는 국가명 순번에 대해 “자유, 민주, 법치, 인권 가치에 대해 심각하게, 한국과 얼마나 진정으로 협력하느냐가 일차적 기준”이라며 “그다음에는 주변 4강의 그간 동맹의 역사, 우방국의 순서에 따라 부르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딱 정해놓은 순서나 원칙은 없다”며 “그러나 현 상황에서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하며 우리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락이어서 북한이 뒷자리에 온 것 같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