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에 곳곳서 질문 ... 시나리오 없는 기자회견

문 대통령에 곳곳서 질문 ... 시나리오 없는 기자회견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7-08-17 15:02
수정 2017-08-17 18: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5개 매체서 질문···외교·안보 6건으로 가장 많아

“대통령님, 긴장되시죠? 질문하실 기자분들은 손을 들고 제가 호명하면 일어서서 소속과 성명을 말씀하신 후 질문해 주십시오”

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의 사회를 맡은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의 안내가 끝나자마자, 내·외신 언론사 출입기자 250여명 대다수가 동시에 손을 번쩍 들었다. 박근혜 정부 때 잘 짜인 각본대로 진행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 대통령 기자회견 분위기가 확 달라진 모습의 첫 풍경이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1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기자들이 질문을 하기위해 손을 들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17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기자들이 질문을 하기위해 손을 들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 대통령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은 아무런 사전 조율을 거치지 않은 ‘무각본’ 자유 질의응답 형태로 진행됐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문 대통령을 중심으로 250여명의 내·외신 기자들이 반원형으로 둘러앉아 각본 없는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았다. 기자회견이 시작되기 약 50분 전인 오전 10시 10분부터 영빈관 안은 250여명의 내외신 기자들로 자리가 꽉찼다.

청와대와 출입기자단은 이날 기자회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질문 주제와 순서만 조율했고, 질의내용과 답변 방식, 질문자 등에 대해서는 어떤 사전 약속도 하지 않았다.

기자 회견에 앞서 행사 진행 총책임자인 탁현민 선임행정관이 마이크 상태와 질의응답 예상시간 등을 체크하며 부산하게 움직였고, 방송사 송출 요원들도 문재인 정부 첫 기자회견에 국민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생중계 송출 시스템을 점검했다.

●文대통령 초반 다소 긴장했으나 갈수록 여유 찾아

이에 문 대통령에게도 사전에 질문지가 제공되지 않았고, 문 대통령은 어느 언론사 출입기자로부터 어떤 질문을 받을지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다소 긴장된 표정으로 기자회견에 임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자회견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17. 08. 17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출입기자들도 질문기회를 얻기 위해 적극적으로 손을 들며, 문 대통령에게 질문을 던졌다.

이날 문 대통령은 연합뉴스 기자의 질문을 필두로 총 15개 언론사 출입기자로부터 질문을 받았다. 뉴스통신사 1곳, 방송사 4곳, 종합지 1곳, 경제지 2곳, 지역지 3곳, 인터넷 매체 1곳 등 국내 언론사 12곳이 질문기회를 얻다. 미국의 CNN과 NBC, 일본 NHK 등 외신 3곳도 문 대통령에게 질문했다.

질문 유형별로는 외교·안보 분야 질문이 6건, 정치 2건, 경제 2건, 사회·지역 분야 5건 등으로 나뉘었다.

출입기자들은 대통령이 답변하기 쉬운 질문이 아니라 국민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을 던졌다. ‘한반도에서의 전쟁 발발 가능성’이나 모든 국민이 해당하는 증세 문제, 전 국민의 관심사인 부동산 정책 등이 그것이다.

●문 대통령 플러스펜 들고 메모도...조간신문 신조어도 언급

문 대통령은 기자회견 초반 다소 긴장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기자회견이 진행될수록 여유를 찾고 자신감 있는 어조로 기자들의 질문에 답했다. 검정 플러스펜을 들고 기자들의 질문을 메모지에 받아 적으며 간혹 미소를 비추기도 했다.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나 일부 잘못 알려진 사실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해명하는 모습도 보였다.

문 대통령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복지정책의 재원 문제에 대해 답하면서 “현재 정부가 발표한 여러 복지정책은 지금까지 발표한 증세방안만으로 충분히 재원 감당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답변 중 이날 조간신문에 보도된 ‘산타클로스 정책’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자, 윤 수석은 농담조로 “대통령께서 여러분의 기사를 얼마나 열심히 보고 계시는지에 대한 방증”이라고 거들었다.



일본 언론과는 강제징용·위안부 문제를 놓고 시각차를 드러냈다. 일본 NHK 기자가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를 언급하며 “강제징용은 노무현 정부 때 한일기본조약에서 해결된 문제”라고 하자,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는 한일회담 이후 알려져 다뤄지지 않았고, 한일회담으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기자들도 첫 회견이 어색한 듯 구체적인 질문 없어 아쉬움

부동산 정책 관련 질문을 받고는 3∼5초가량 말을 멈추고 생각을 정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청와대 출입 기자들도 첫 회견이 다소 어색한 듯 질문들은 전반적으로 구체적이지 못했고, 문 대통령의 답변에 대한 재질문도 없어 아쉬웠다.

이날 기자회견은 오전 11시에 시작해 정오 정각에 마칠 예정이었으나, 질문기회를 얻지 못한 기자들의 질문요청이 쏟아져 추가 질문을 하나 더 받느라 낮 12시5분에 끝났다. 추가 질문기회는 영남 지역 언론사 출입기자에게 돌아갔으며, 해당 기자는 “이 질문만큼은 꼭 하고 싶다”며 울산 지역의 현안인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사 중단과 관련한 탈원전 정책에 대해 질문했다.

예정에 없던 추가 질문까지 받았으나, 질문기회를 얻지 못한 대부분의 기자는 아쉬움을 금치 못했다. 한 출입기자는 “열 번 넘게 손들었는데 결국 질문을 못 했다. 윤 수석과 눈을 마주쳤는데도 기회를 주지 않더라”며 섭섭해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