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여러 경로 접촉했지만 무응답
“제 발로 월북, 北이 가장 당황해”
체제 선전·협상 카드 등 고심 관측
월북 직전 미군 미군
병사 트래비스 킹(동그라미 친 사람)이 지난 18일 월북 직전 경기 파주시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둘러보고 있다. 한 관람객이 찍은 것으로 킹은 사복을 입고 있다.
판문점 로이터 연합뉴스
판문점 로이터 연합뉴스
커린 잔피에어 미 백악관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킹의 안위와 소재를 놓고 여전히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며 “필요한 정보를 모으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킹이 자발적으로 월북한 터에 송환을 원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가정적으로 답하지 않겠다. 그의 안전과 본국 송환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취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중국의 관여에 대해 공개할 내용이 없다”며 “한국과 (평양에 대사관을 둔) 스웨덴 정부와 대화 중”이라고 설명했다.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도 20일 일본에서 열린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에서 “미국은 킹의 안전과 송환을 위해 적극 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침묵이 이어지는 것은 킹의 월북 동기, 배경 등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인 데다 제 발로 들어온 그를 체제 선전에 이용할지, 송환 협의에 응하면서 협상카드로 쓸지 판단이 서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는 27일 70주년 ‘전승절’(6·25 정전협정기념일)을 앞두고 대규모 열병식을 비롯한 기념행사에 올인하고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군사안보 전문가인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한 라디오방송에서 “남측에서 (미군) 병사가 뛰어오는 건 처음 봤기에 제일 당황한 것은 북한”이라며 “코로나 후유증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기에 한편으로는 ‘무슨 병이라도 옮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정부가 협상을 제안해 올 것이기에 대화의 물꼬를 트고 상황을 관리하는 데 북한이 유리한 입장에 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3-07-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