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7.jpg)
![여러 비트가 담긴 공구통. 상황에 맞는 드릴 비트를 골라서 써야 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8_O2.jpg)
![여러 비트가 담긴 공구통. 상황에 맞는 드릴 비트를 골라서 써야 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8.jpg)
여러 비트가 담긴 공구통. 상황에 맞는 드릴 비트를 골라서 써야 한다.
목공용 드릴 비트 종류가 꽤 많다. 그냥 구멍을 뚫을지, 나사못을 박을 구멍을 뚫을지, 경첩을 붙일 구멍을 뚫을지 등 용도에 맞춰 적절한 비트를 골라야 한다.
가장 흔하게 쓰는 게 ‘브래드 포인트(brad point)’ 드릴 비트다. 브래드는 ‘가는 못’이라는 뜻인데, 비트 앞부분이 못처럼 뾰족하게 튀어나와 붙인 이름이다. 이 부분으로 구멍 내려는 곳 중심을 콕 찍은 뒤 쓴다. 일반적으로 굵기 2~12㎜ 정도가 있다.
전동 드릴에 끼워 쓰기도 하고, 손잡이가 달린 목공 기계인 ‘드릴 프레스’에 물려 사용한다. 전동 드릴에 물리는 부분을 뜻하는 ‘섕크(shank)’ 부분이 육각인 비트도 있다.
![왼쪽부터 브래드 포인트 비크, 카운터 싱크 비트, 오거 비트. 각 제조사 제공. 사진 아마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9_O2.jpg)
![왼쪽부터 브래드 포인트 비크, 카운터 싱크 비트, 오거 비트. 각 제조사 제공. 사진 아마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059.jpg)
왼쪽부터 브래드 포인트 비크, 카운터 싱크 비트, 오거 비트. 각 제조사 제공. 사진 아마존
나사못에 특화한 제품으로 ‘카운터싱크(countersink)’ 드릴 비트를 꼽을 수 있다. ‘카운터싱크’는 ‘V’자 모양 구멍을 뜻한다. 구멍을 뚫고 접시 머리 나사못을 박으면 V자 홈에 딱 맞아 표면이 평평해져 보기가 좋다.
카운터싱크 드릴 비트에 속 날을 끼운 비트를 ‘이중 드릴 비트’라고 한다. 긴 나사못을 쓸 때 속 날을 길게 빼서 쓰는 식으로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프리 홀을 뚫는 속 날은 3㎜를 주로 쓴다. 다만 얇은 비트는 중간에 구멍을 뚫다가 방향을 살짝만 바꿔도 잘 부러지니 유의하시길. 3㎜ 브래드 포인트 비트를 꼽아 쓰다 중간에 뚝 부러지면 빼기가 어렵다.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의 사용법. 자료 제공 이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100_O2.jpg)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의 사용법. 자료 제공 이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100.jpg)
깊이 조절식 이중 드릴 비트의 사용법. 자료 제공 이젠
‘오거(auger) 비트’는 나사산이 굵고 산의 각도도 커서 파고드는 힘이 강하다. 한 번 파고들면 손으로 돌려 빼기 어려울 정도다. 전동 드릴에 물려서 쓰는데, 18V용 전동 드릴에 끼워 쓸 수 있는 굵은 오거 비트를 비롯해 다양한 굵기가 있다.
파고드는 힘이 워낙 세기 때문에 드릴 프레스에 물려 쓰다간 자칫 다칠 수 있다. 드릴 프레스에 끼워 쓰면 목재가 빙빙 회전하며 딸려 오거나 튈 수 있다.
좀 더 큰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드릴 비트를 살펴보자. ‘포스너(fostner) 비트’는 2개 내지는 3개의 날을 원통으로 감싼 형태의 비트다. 스페이드 비트보다 굵기가 굵어 힘이 더 좋다. 그래서 전동 드릴보다 드릴 프레스에 주로 물려 쓴다.
‘스페이드(spade) 드릴 비트’는 머리가 트럼프 카드 스페이드와 모양이 비슷해 이런 이름을 붙였다. 홈을 내거나 구멍을 팔 때 쓰는데, 날이 얇아 하드 우드에 구멍을 낼 때 다소 무리가 간다. 그래도 날이 날카로워 구멍이 깔끔하게 뚫리는 게 장점이다.
포스너 비트와 스페이드 드릴 비트 모두 치수가 다양하게 나온다. 여러 치수 비트를 묶어 저렴하게 파는 세트를 기본으로 하나 사두고, 필요에 따라 경첩용(35㎜), 양초 홈 파기용(40㎜), 시계 삽입 홈 파기용(75㎜) 등 용도에 맞는 비트를 필요할 때 사는 게 좋다.
![포스너 비트, 스페이드 드릴 비트, 홀쏘. 사진 아마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101_O2.jpg)
![포스너 비트, 스페이드 드릴 비트, 홀쏘. 사진 아마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26/SSC_20230526212101.jpg)
포스너 비트, 스페이드 드릴 비트, 홀쏘. 사진 아마존
조금 특이한 용도로 쓰는 드릴 비트도 있다. ‘경첩용 센터 드릴 비트’는 말 그대로 경첩 달 때 쓰는 홈을 내준다. 경첩은 대개 지름 30㎜ 홈을 파고, 경첩 철물을 넣은 뒤 구멍에 나사못을 넣어 조인다. 이 나사못 구멍 위치가 어긋나면 경첩이 잘못 부착될 수 있다. 그래서 경첩에 닿는 부분을 좁고 둥글게 만들고, 용수철을 이용해 적절히 팔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드릴 비트는 아니지만, 센터펀치는 있으면 좋은 도구다. 용수철을 내장한 제품으로, 꾹 누르면 ‘탕’ 소리를 내며 목재에 작은 홈을 내준다. 여기에 드릴 비트를 겨냥해 구멍을 뚫으면 이리저리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구멍을 낼 수 있다. 날이 무딘 송곳을 대용으로 써도 무방하다.
관심은 가지만 섣불리 시작하기 어려운 목공. 해보고는 싶은데 어떨지 잘 모르겠다면 일단 한 번 글로, 눈으로 들여다보세요. 주말이면 공방에서 구슬땀 흘리는 김기중 기자가 목공의 즐거움을 이야기합니다. ‘김기자의 주말목공’은 매주 토요일 아침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