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인사이드] 美 의회 보좌관 업무실태·만족도 대해부

[주말 인사이드] 美 의회 보좌관 업무실태·만족도 대해부

입력 2013-10-12 00:00
수정 2013-10-1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0%가 “특권이자 매력적 직업” 외치지만 속내는…

미국 의원들에 대한 소식은 자주 언론매체에 오르지만, 그들을 음지에서 보좌하는 보좌관들에 대해서는 한국에 알려진 게 거의 없다. 미국 보좌관들은 한국 보좌관들과 같이 국회의원들의 ‘손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자신들의 손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운명을 쥐락펴락하는 주요 정책들을 좌지우지한다는 점에서 자부심이 크다. 하지만 행정부 공무원에 비해 월급이 적다는 점에서 이직 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국회의사당 전경 AP 연합뉴스
미국 국회의사당 전경
AP 연합뉴스
의회 입법활동 개선을 위해 발족된 비정파 시민단체 ‘의회관리재단’(CMF·Congressional Management Foundation)이 1432명의 연방의회 보좌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토대로 지난달 내놓은 ‘의회 생활: 상·하원 보좌관의 업무 만족도’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미 연방의회 보좌관들의 머릿속을 엿볼 수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 의회 보좌관 대부분은 자신들의 직업에 만족하지만 그중 상당수는 낮은 보수 등의 이유로 기회가 되면 다른 직업을 갖고 싶어하는 이중적 사고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보좌관의 80%는 낮은 보수와 예측 불가능한 근무시간, 의원의 화려함에 가려 주목받지 못하는 한계 등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직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 응답자의 74%는 현재 근무하는 의원실 분위기에 대체로 만족한다고 답했다. 보좌관의 83%는 통상적인 임무를 넘어서는 새로운 프로젝트나 과제를 부여받기를 마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81%는 보좌관직이 개인적 성취감을 준다고 했고, 79%는 직업에 열정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75%는 업무에 있어서 혁신을 요구받는다고 했고, 74%는 동료들이 위기상황에 잘 적응한다고 대답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상원의원 보좌관은 “과도한 업무시간으로 가정생활 희생이 불가피하지만, 나라에 봉사할 기회를 갖는 것은 드물고도 특별한 특권”이라고 말했다. 한 하원의원 보좌관은 “보좌관직은 업무를 통해 지역사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력이 있다”면서 “주말에 지역구에 내려갈 때마다 내 업무가 유권자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감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보좌관들이 좌절하는 부분도 적지 않다. 보좌관의 70%가 자기가 보좌하는 의원과의 의사소통(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으나 실제 의사소통에 만족한다는 보좌관은 22%에 그쳤다. 브래드 피치 CMF 회장은 “의사소통과 관련한 보좌관들의 불만에 의원들은 유념할 필요가 있다는 일종의 경고 신호”라고 해석했다.

그 밖에도 좀 더 구체적으로 파고들어가 보면 이상과 현실의 괴리는 여러 대목에서 확인된다. 자신의 업무가 “매우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보좌관이 75%인 반면 실제로 자신이 현재 하고 있는 업무에 ‘대체로 만족’하는 정도가 아닌, “매우 만족한다”는 보좌관은 43%에 그쳤다. 자신의 기술과 능력을 업무에서 발휘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보좌관이 72%인 반면 실제 이 부분에서 매우 만족하고 있다는 보좌관은 32%에 그쳤다. 의원실 업무 분위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은 79%였지만 41%만이 매우 만족한다고 답했다. 의원실 업무에서 자신의 기여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보좌관이 70%에 달했지만 실제 자신의 기여도에 매우 만족한다는 보좌관은 34%에 그쳤다.

자신의 업무 성과에 대해 의원이 인정해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 보좌관은 58%였지만 실제 자신이 보좌하는 의원이 업무 성과를 인정해주는 정도에 매우 만족한다고 대답한 보좌관은 22%에 불과했다. 사안에 대해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율권을 의원이 보좌관에게 부여해주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은 57%였으나 실제 이 부분에서 매우 만족한다는 보좌관은 31%에 그쳤다.

흥미로운 것은 연방의회 보좌관과 주의회 보좌관의 가치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여론조사에 따르면 은퇴 후와 저축 계획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연방의회 보좌관은 응답자의 절반에 못 미쳤지만, 주의회 보좌관은 70%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런 조사결과는 연방의회 보좌관에 젊은층과 미혼자들이 많은 반면 주의회 보좌관은 상대적으로 더 나이가 많고 기혼자와 여성들이 많기 때문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실제 여성 보좌관의 69%는 복지 혜택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남성 보좌관은 48%만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행정부 동급직원(카운터파트)과 비교할 때 보좌관의 업무 열정은 높은 편이다. 보좌관의 63%가 업무 목표를 달성할 것을 확신하는 반면 행정부 동급직원은 34%가 목표 달성을 확신한다고 답했다. 보좌관의 51%는 업무에 동기가 부여된다고 답한 반면 행정부 동급직원은 25%만 동기가 부여된다고 답했다. 보좌관직을 택한 이유로 급료를 꼽은 보좌관이 38%에 불과한 대목에서도 업무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직 희망률은 보좌관이 훨씬 높다는 점은 직업의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향후 1년 이내에 다른 일을 찾아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연방의회 보좌관의 63%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주의회 보좌관은 36%, 행정부 동급직원은 37%만 긍정적으로 답했다. 연방의회 보좌관 중 20~30대는 65%가, 30~40대는 50%가, 50~60대는 27%가 1년 내 이직 의향이 있다고 답해 젊을수록 불안정한 면모를 보였다.

보좌관직을 그만두고 싶어하는 연방의회 보좌관의 사직 희망 사유 중 1위는 역시 급료였다. 51%(복수응답 가능)가 더 많은 돈을 받는 직업으로 바꾸고 싶다고 답했으며 42%는 다른 직종에서 일해 보고 싶어서, 38%는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위해서, 36%는 정치의 환상에서 깨어나고 싶어서, 33%는 민간부문에서 경험을 쌓기 위해서 이직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상사와의 갈등(47%), 자기계발 기회 부족(48%) 등을 사직 희망 사유로 꼽은 보좌관도 많았다.

보좌관 월급은 비슷한 직위의 타업종에 비해 낮은 편이다. CMF에 따르면 2010년 기준 미 의회 보좌관의 연봉 평균은 4만 9000달러다. 이는 행정부나 민간회사의 동급직원보다 20~40% 적은 금액이다. 실제 여론조사에서 보좌관들의 불만은 대부분 낮은 보수에 집중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 하원의원 보좌관은 “양질의 보좌관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보수가 중요하다”면서 “물가가 높은 워싱턴에서 지금 받는 월급으로는 집을 사거나 저축을 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다른 하원의원 보좌관은 “낮은 보수 때문에 지난 5년간 보좌관들의 이직이 갈수록 빈번해지는 것을 목격해 왔다”면서 “이에 따라 수준 이하의 보좌관들이 채용되는 등 질이 갈수록 저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보좌관직에 계속 남아있고 싶다는 사람 중 94%(복수응답 가능)는 “의미 있는 직업이라서”를 이유로 꼽았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10-1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