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홀로 선 그들: 청소년 트랜스젠더 보고서①
국내 청소년 트랜스젠더 현황출생 시 성별 남 673명·여 150명
“미성년자 대부분 진단 못 받아”
12일 서울신문이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서 ‘성 주체성 장애’ 질병진단코드로 조회한 결과, 법적 성별이 남성인 청소년은 673명, 여성인 청소년은 150명이었다. 연령에 관계없이 지난해 이 진단을 받은 트랜스젠더는 1707명이었다. 법적 성별이 남성인 트랜스 여성 인구가 더 많은 데 대해 장창현 살림의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는 “해외에도 2000년대에는 트랜스 여성이 트랜스 남성 보다 많았다가 최근에는 점차 인구 비율이 비슷해지고 있다는 연구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 통계 수치를 자신의 성 정체성에 맞는 성별로 살아가기 위한 의료적 조치를 시작하는 첫 단계에서 병원을 방문하는 인구로 해석한다. 윤정원 국립중앙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는 “트랜스젠더가 호르몬 치료를 받거나 성별정정을 하려면 정신과에서 질병진단코드를 받기 때문에 이를 통해 트랜스젠더 인구 수를 추산할 수 있다”면서도 “자가 호르몬 치료를 하거나, 성별 불일치감을 겪으면서도 정신과 진단을 받지 않은 트랜스젠더 인구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서울신문이 15~18세 트랜스젠더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1%만 정신과에서 성 주체성 장애 관련 진단을 받았다.
트랜스젠더 청소년이 정확히 몇명인지는 알 수가 없는 상황이다. 미성년자 대부분은 부모 동의를 받지 못하거나 경제적 부담, 건강에 끼칠 영향을 우려해 호르몬 치료를 시도조차 못한다. 통상 성확정 수술을 마친 성인들이 성별정정을 신청하기에 행정안전부가 관리하는 주민등록상 성별정정을 마친 인구 통계로는 청소년 트랜스젠더의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10대 때부터 산부인과나 가정의학과에서 호르몬 치료를 받는 경우도 있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라 통계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는 청소년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인구총조사 등 각종 국가 조사가 법적 성별을 기준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나마 법적 성별정정이 끝난 트랜스젠더는 전체 인구는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2633명으로 집계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5년 연구에서 국내 트랜스젠더 인구를 5~25만명 정도로 추정했다.
※ 서울신문의 ‘벼랑 끝 홀로 선 그들-2021 청소년 트랜스젠더 보고서’ 기획기사는 청소년 트랜스젠더의 이야기를 풀어낸 [인터랙티브형 기사]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거나 URL에 복사해 붙여 넣어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seoul.co.kr/SpecialEdition/transyouth/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특별기획팀 zoom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