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SF소설에도 ‘공상’은 없다 지금의 악몽도 미래의 현실이다
2차 세계 대전 후 올더스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에 새로운 서문을 추가 한다. 이 서문은 이전의 ‘멋진 신세계’에서 자신이 놓쳤던 결점을 집어내는 형태로 쓰여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만족스럽지 않았던지, 그는 1958년 ‘다시 찾은 멋진 신세계’라는 비평집까지 발간한다. 어찌 보면 이는 작가로서 꽤 위험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의 작품에 대해 작가가 던지는 끊임없는 질문들은 작가에 대한 독자들의 신뢰를 여지없이 무너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멋진 신세계’가 SF형식으로 쓰여져 있다는 점, 더 정확히 말해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그의 행동은 선뜻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 놓고는, 그 이야기 안에 심각한 결점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한편으로 작가의 오만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영화 가타카의 한 장면. ‘멋진 신세계’에서 처럼 유전자로 계급을 나누는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다.
2010-1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