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멋진 신세계’를 맞는 우리의 자세

‘더 멋진 신세계’를 맞는 우리의 자세

입력 2010-11-29 00:00
수정 2010-11-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떤 SF소설에도 ‘공상’은 없다 지금의 악몽도 미래의 현실이다

2차 세계 대전 후 올더스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에 새로운 서문을 추가 한다. 이 서문은 이전의 ‘멋진 신세계’에서 자신이 놓쳤던 결점을 집어내는 형태로 쓰여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만족스럽지 않았던지, 그는 1958년 ‘다시 찾은 멋진 신세계’라는 비평집까지 발간한다. 어찌 보면 이는 작가로서 꽤 위험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자신의 작품에 대해 작가가 던지는 끊임없는 질문들은 작가에 대한 독자들의 신뢰를 여지없이 무너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멋진 신세계’가 SF형식으로 쓰여져 있다는 점, 더 정확히 말해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그의 행동은 선뜻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 놓고는, 그 이야기 안에 심각한 결점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한편으로 작가의 오만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영화 가타카의 한 장면. ‘멋진 신세계’에서 처럼 유전자로 계급을 나누는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다.
영화 가타카의 한 장면. ‘멋진 신세계’에서 처럼 유전자로 계급을 나누는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생각은 SF를 공상과학소설이라고 불러오던 우리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는 어떤 작품도 절대 ‘공상’에 기대 있지 않다. 다른 문학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는 SF 또한 결국은 ‘지금-여기’라는 현실에 기초해 쓰여 졌기 때문이다. 다만 미래사회, 특히 미래사회를 디스토피아로 그리고 있는 SF는 지금의 현실에 만족해하며 인간들이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고, 어떤 행동도 하지 않을 경우 맞닥뜨리게 될 극한의 삶을 보여준다는 것. 그러니 따지고 보면 미래사회를 그리고 있는 작품들은 오히려 우리가 리얼리즘이라 부르는 작품들보다도 더 리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작품들 대부분의 결말이 디스토피아라는 것은 여간 씁쓸한 일이 아니다. 간혹 암울한 결말이 맘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로 SF작품들을 외면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하지만 그들이 그토록 원하는 장밋빛 미래를 살기 위해선 현재의 악몽을 직시해야 한다. 악몽을 잊기 위해 다시 단잠을 청해서는 곤란하다. 한시라도 빨리 끔찍한 악몽에서 화들짝 깨어나 현실을 살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2010-1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