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핫 플레이스] 세계를 사로잡은 서민의 맛

[서울 핫 플레이스] 세계를 사로잡은 서민의 맛

최지숙 기자
입력 2015-11-26 23:06
수정 2015-11-27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디까지 맛 봤니

고소한 맛으로 서민들의 허기를 채워 주던 포장마차들이 있었다. 서울 성동구의 ‘왕십리 곱창골목’. 소고기 못 먹는 설움을 씻어 준다고 할까! 가벼운 주머니로 찾아가 곱창에 소주 한 잔 기울이며 마음을 달래던 추억의 장소다. 최근 이곳은 뽕밭이 바다로 바뀌듯이 확 달라졌다. 깔끔한 내부 인테리어, 젊은층과 외국인을 사로잡는 새로운 맛으로 이목을 끌고 있는 것.

이미지 확대
서울 성동구 ‘왕십리 곱창골목’의 한 가게에서 직원이 곱창을 굽고 있다.
서울 성동구 ‘왕십리 곱창골목’의 한 가게에서 직원이 곱창을 굽고 있다.
구는 지난해부터 서울시의 ‘K푸드 특화거리’ 지원계획에 따라 왕십리 곱창골목 일대 재정비에 나섰다. 식도락을 목적으로 서울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안내 표지판을 정비하고, 다국적 메뉴판 등 제작을 지원했다. 낡은 포차들은 세련된 현대식 가게가 됐다. 주 고객층도 확연히 달라졌다.

지난 25일 찾아간 곱창거리에는 가게마다 삼삼오오 모여 앉은 젊은 여성들이 있었다. 한국 관광안내 가이드에 맛집 코스로 소개되며 낯선 언어를 쓰는 외국인들의 방문도 부쩍 늘었다. 한 곱창가게 주인은 “주로 중국과 일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데 일주일에 최소 50명 이상 온다”며 “특히 일본인들이 처음 먹어보는 데도 맛있다고 좋아한다”고 전했다.

곱창거리에는 현재 14개의 점포가 있다. 과거 여기저기 흩어졌던 포차들이 일제 정비를 거쳐 성동구청 건너편에 자리를 잡았다. 가게 주인들은 ‘경쟁’보다 ‘공생’을 챙긴다. 왕십리 곱창거리 연합회 측은 “문을 닫는 가게가 생기면 나머지 가게도 매상이 오르지 않고 손님이 덜 찾는 등 어려워진다”면서 “좋은 곱창 구매처를 모두 같은 곳으로 맞추는 등 공생을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월의 흐름만큼 제각기 사연도 있다. ‘정부네곱창’의 오진수(47) 사장은 아버지 때부터 30여년째 곱창가게를 운영한다. 어머니가 암 투병에 들어가자 아버지는 가게 문을 닫으려 했다. 그래서 용접 일을 하던 오 사장이 가게를 물려받았다. 아버지가 개발한 비법 소스가 사장되는 안타까움 때문이었다. 투박한 손으로 곱창을 손질하던 그는 꽃모양 곱창 개발로 어느새 ‘가위질 최강달인’이 됐다. 오 사장은 “아버지가 테이블 네 개를 놓고 시작했던 때의 초심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한다”며 “연탄불 초벌구이 등 전통방식은 지키고 소스는 요즘 입맛에 맞게 발전시켰는데 단골들도 맛있다고 좋아한다”고 웃었다.

곱창거리 가게들은 낮 12시부터 새벽 4시까지 영업한다. 자정이 넘어가면 앉을 곳이 없다. 가게 겉모습은 달라졌지만 성동구 왕십리의 ‘잠들지 않는 왁자지껄한 밤’은 여전하다.

글·사진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5-11-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