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중심 소형 육식공룡 포식 행태 연구
서울대, 성균관대, DGIST, 美, 폴란드 과학자 참여
연구팀이 작은 육식공룡의 먹이 사냥법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로봇공룡 ‘로봅테릭스’
서울대 제공
서울대 제공
국내 과학자들이 중심이 된 국제 공동 연구팀은 몸집이 작은 육식 공룡들의 포식 행위를 실험적으로 밝혀내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지구·환경과학부,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미국 미네소타대 지구·환경과학과, 폴란드 국립과학원 동물학 박물관 공동 연구팀은 몸집이 작은 잡식성·육식성 공룡은 작은 깃털이 달린 원시적 형태의 날개를 펄럭거리며 먹잇감을 숨어있는 곳에 쫓아냈을 것이라고 28일 밝혔다. 국내 대표 공룡연구자 중 한 명인 이융남 서울대 교수도 이번 연구에 참여했다. 이 연구 결과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1월 26일 자에 실렸다.
많은 고생물학 연구를 통해 깃털 공룡의 화석이 발견됐다. 그중 날 수 있는 조류들에게서 발견되는 ‘긴 칼 깃털’(pennaceous feather)을 가진 것은 ‘페나랍토라’라는 작은 공룡들뿐이었다. 문제는 페나랍토라들이 가진 긴 칼 깃털은 날기에는 충분하지 않아 정확히 그 기능이 무엇인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북방 흉내지빠귀 같은 잡식 조류는 날갯짓으로 먹잇감을 놀라게 해 숨어있는 곳에서 나오게 만들어 쫓아가 포식하는 ‘플러시-추적’ 행동을 한다. 연구팀은 중생대 소형 육식공룡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먹잇감을 잡았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Manjith Kainickara, CC BY-SA 3.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Manjith Kainickara, CC BY-SA 3.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연구팀은 약 1억 24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작 크기의 두 발 달린 페나랍토라 류의 포식자 ‘코우딥테릭스’의 크기, 모양, 예상 이동 범위를 바탕으로 ‘로봅테릭스’라는 로봇을 만들어 메뚜기의 행동 반응을 실험했다. 메뚜기는 플러시-추적 행동에 반응하는 대표적 동물이다.
로봅테릭스가 날개를 펼치고 꼬리를 올린 뒤, 날개를 펄럭이는 등 다양한 플러시-추걱 행동을 모방하도록 했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메뚜기의 93%가 로봅테릭스의 날갯짓에 놀라 숨어 있던 곳에서 튀어나오는 것이 관찰됐다. 또 로봅테릭스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와 날개를 펄럭거리는 정도가 메뚜기가 튀어나와 도망가는 확률과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깃털 달린 날개와 꼬리가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길달리기 새 역시 플러시-추적 행동으로 먹잇감을 사냥한다.
Lip Kee, CC BY-SA 2.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Lip Kee, CC BY-SA 2.0 DEED/사이언티픽 리포츠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