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 20% “UFO 목격한 적 있다” [달콤한 사이언스]

과학자 20% “UFO 목격한 적 있다” [달콤한 사이언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5-23 10:31
수정 2023-05-23 14: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1952년 7월 31일 미국 뉴저지에서 발견된 미확인비행체(UFO)의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1952년 7월 31일 미국 뉴저지에서 발견된 미확인비행체(UFO)의 모습.

위키피디아 제공
1970~80년대 아동·청소년 잡지에서 심심찮게 다뤘던 소재 중 하나가 미확인비행체, 바로 UFO이다. 내용들은 주로 우주인의 존재를 증명하는 물체나 현상이라거나 미국이나 러시아의 비밀리에 개발한 신종 무기체계라는 식의 음모론이 대부분이었다. 지금까지 목격된 UFO라는 것들의 대부분은 구름이나 빛 반사, 인공위성, 착시같이 평범한 물체나 현상으로 밝혀졌다. 그런데도 여전히 UFO 목격담이 간간이 전해지곤 한다.

그런데 5명 중 1명꼴로 대학에서 연구하는 학자들도 미확인 항공 현상(UAP)을 확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루이스빌대, 버지니아대 공동 연구팀은 미국 내 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19% 이상이 본인이나 지인이 UAP를 목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를 발행하는 네이처 출판그룹에서 나오는 국제학술지 ‘인문학·사회과학 커뮤니케이션즈’ 5월 23일자에 실렸다.

UFO는 미확인 비행 물체를 의미하지만 UAP는 미확인 항공 현상으로 좀 더 포괄적이다. UFO는 음모론으로 이어지기 십상이지만 UAP는 좀 더 과학적 검증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품고 있다.

연구팀은 2022년에 정치학, 심리학, 물리학, 공학 등 14개 학문 분야의 미국 내 144개 대학 연구자, 정년 보장(테뉴어)을 보장받은 교수 3만 9984명을 대상으로 UAP에 대한 인식, 경험, 의견에 대해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는 1460명으로 약 4%였다.

응답자의 19%에 해당하는 276명은 본인이나 지인이 UAP를 목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128명(9%)은 본인이나 지인이 UAP 목격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이상한 현상이나 물체를 보기는 했지만 뒤늦게 UAP라는 것을 인식했다는 말이다.
이미지 확대
그동안 미확인 비행물체(UFO)라고 불리던 것을 최근에는 미확인 항공 현상(UAP)이라 좀 더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들의 좀 더 쳬계적 연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픽사베이 제공
그동안 미확인 비행물체(UFO)라고 불리던 것을 최근에는 미확인 항공 현상(UAP)이라 좀 더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연구자들의 좀 더 쳬계적 연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

픽사베이 제공
또 응답자의 39%는 현재로서는 UAP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기 힘들다고 답했으며 21%는 자연 현상, 13%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특수 장치일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 중 4%는 UAP와 관련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36%는 관련 연구에 관심이 있음을 밝혔다. 특히 43%는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저명한 학자가 연구에 뛰어든다면 UAP에 대한 학술 연구를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으며 55%는 연구비가 주어진다면 UAP에 대한 연구 수행 가능성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37%는 UAP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63%는 학계에서 UAP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를 이끈 마리사 잉링 루이스빌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UAP에 대해 아마추어 연구자들에게 맡기지 말고 학계에서도 관련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라며 “UAP에 대한 공개적 토론을 통해 학계의 참여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