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이 사는 법] 의사 아닌 ‘정치인 안철수’ 오버페이스 하지 않겠다
안철수(58) 국민의당 대표는 왜 계속 달리는 것일까. 2012년 9월 정치에 입문한 후 해외 생활을 뺀 약 6년의 국내 정치 활동에서 받았던 수많은 환호와 비난을 뒤로한 채 안 대표는 오늘도 다시 뛰겠다고 말했다. 4·15 총선 기간에 435.24㎞의 국토 대종주를 했고 코로나19가 확산됐던 대구에 두 차례 의료 봉사활동을 다녀온 안 대표를 지난 7일 서울 합정동의 한 북카페에서 만났다.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7일 서울 마포구 합정동의 한 북카페에서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달리기는 인생과 닮았다. 살아가면서 거대한 목표도 좋지만 매 순간 최선을 다하고 작은 성취라도 계속 해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달리기를 통해 깨달은 인생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염증이 생겨서 한 달쯤 있다 뛰라고 했는데 2주 만에 뛰어 보니 괜찮은 거 같아요. 지금도 틈틈이 뛰고 있습니다. 근데 발을 다친 쪽은 아마 발톱이 빠질 거 같아요. 아직 후유증을 앓고 있는 중이죠.”
-왜 달리기를 시작했나.
“처음 달리기를 시작한 건 딸 때문이었어요. 2016년 8월 여름휴가 때 딸과 같이 있는데 평소처럼 새벽에 나가서 뛰려고 하는 거예요. 혼자선 위험하다 싶기도 해서 딸과 같이 뛰러 나갔죠. 100m만 뛰어도 힘든 줄 그때 처음 알았어요. 처음엔 만만하게 보고 같이 뛴다고 했던 제가 헉헉대면서 겨우 한 바퀴를 돌았어요. 그때부터 꾸준히 뛰게 됐죠. 건강보다 정신적으로 많은 도움이 됐어요. 처음엔 자기 숨소리, 쿵쾅 뛰는 심장 소리, 헉헉대는 호흡 그리고 토닥 토닥하는 발자국 소리만 들렸어요. 어느 정도 익숙해지니 그런 것을 배경으로 다른 잡념은 사라지고 본질적인 것만 남아 생각을 하게 됐어요. ‘나’라는 사람의 본질이 무엇인지, 자기 자신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온전한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게 달리기였어요.”
-달리기와 인생이 닮은 듯한데.
“마라톤이 인생과 닮았단 생각이 들 때가 여러 번 있었어요. 우선 1㎞ 앞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모릅니다. 처음엔 컨디션도 좋고 날씨도 좋고 옷도 기온에 딱 맞춰서 입은 거 같지만 뛰다 보면 1㎞ 후에 갑자기 폭우가 쏟아질 때도 있어요. 갑자기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아플 때도 있고 너무 힘들어질 때도 있고요. 코스를 완주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없는 거예요. 매 순간 달리기를 시작하는 것 자체도 용기가 필요해요. 항상 실패할 가능성을 품고 있기 때문이죠. 시도를 하지 않으면 실패도 없겠지만 용기를 갖고 시도해야 된다는 점도 인생과 닮았어요. 전 비록 실패하더라도 ‘시도하자’는 주의거든요. 왜냐하면 실패가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으면 과정 중에서 배울 수도 없고 어떤 것을 변화시키거나 결과를 만들 수도 없는 것 아니겠어요. 그런 인생관을 갖고 있다 보니 최선을 다했으면 결과가 성공이든 실패든 받아들일 수 있게 되죠.”
-달리기를 통해 배운 점이 있다면.
“자기 페이스대로 뛰는 게 중요하다는 거예요. 외부 시선이나 누구의 어떤 것에도 흔들리지 말고 자기 페이스대로 꾸준히 갈 때 목표에 도달할 수 있어요. 오버페이스를 하면 그 순간엔 빠르게 갈 수 있겠지만 결국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도 인생과 닮았어요. 제가 뛸 때 요령이 하나 있는데 멀리 있는 목표만 보고 가지 않고 힘들수록 제 발만 보고 뛰는 거예요. 멀리 있는 목표만 보고 뛰면 가도 가도 좁혀지지 않으니 금방 지치게 되는데, 자기 발을 보면서 한 걸음 한 걸음 최선을 다하면 어느 순간 그 목표에 가 있는 자기를 발견하게 돼요. 살아가면서 거대한 목표도 좋지만 매 순간 최선을 다하고 작은 성취라도 하나씩 계속 해나가는 게 중요해요. 제가 지금까지 어려운 일을 헤쳐 나오면서 했던 일이기도 하고요.”
-코로나19 확산으로 대구 의료 봉사활동을 다녀왔는데.
“저희가 가기로 결심했던 날이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최대치에 이르렀을 때였어요. 아내와 저는 처음 만난 곳이 의료 봉사활동 현장이었고 그 이후로도 꾸준히 기회가 되면 어려운 분들 도와주는 일을 같이 했어요. 이번에도 가는 게 당연했어요. 현장에 가 보니 다들 공포에 휩싸인 상태였죠. 대구의 가장 상징적인 장소인 서문시장이 문을 닫을 정도였습니다. 의료진도 굉장히 지쳐 있고 환자들도 고통스러운 상황에 가게 됐어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위험을 무릅쓰고 봉사한 의미를 생각하신 거 같아요. 사실은 목숨을 걸고 간 거잖아요. 목적 자체도 봉사였고요. 코로나19 의료봉사뿐 아니라 우리 사회 다른 분야에도 그런 부분이 부족하다고 많은 분들이 느꼈던 거 같아요.”
-의사, 백신 개발자, 최고경영자(CEO), 교수, 정치인 안철수를 관통하는 인생관이 있다면.
“제 마음속에 의사라는 정체성을 갖고 다른 일을 계속 해 왔던 거 같아요. 의사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봉사와 문제 해결이거든요. V3를 만들어 무료로 배포한 것도 그 봉사와 문제 해결이었죠. 벤처기업 CEO로서도 깨끗하고 정직해도 사업에 성공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정치도 똑같다고 생각해요. 기본적으로 퍼블릭 서비스, 공공을 위한 봉사여야 되고 사익을 추구하는 정치 때문에 많이 실망하잖아요. 또 문제를 해결하는 정치를 국민들이 원하는데 싸움만 하는 정치에 실망하죠. 싸움만 하고 결국 자기 이득만 추구하는 정치를 바꾸고 싶다는 게 처음 정치를 시작하면서 생각했던 방향이었어요.”
-국민 멘토라 불리던 시절도 있었는데 지금의 안철수는 그때와 무엇이 달라졌나.
“제가 가졌던 생각은 변함이 없어요. 굉장히 짧은 시간에 정치 쪽에서 못 해 본 경험이 거의 없을 정도로 정말 다양한 경험을 했죠. 근데 일을 하려면 국민의 지지가 있어야 하는 게 정치 아니겠어요.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를 만나 들었던 이야기가 있어요. 자기가 총리가 됐을 때 국민적 인기는 하늘을 찔렀는데 아는 게 하나도 없더래요. 영국에 대한 중요한 결정 사안을 가져오는데 도대체 판단이 안 서더라는 겁니다. 세월이 지나 어떤 문제도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경험과 연륜을 쌓았는데, 그땐 인기가 바닥이어서 총리를 그만두고 나와야만 됐다는 이야기였어요. 정치인의 숙명이 그런 거 같아요. 처음엔 아무런 경험이 없을 수밖에 없잖아요. 근데 경험을 쌓아 가는 과정에서 동서고금 어느 정치인을 막론하고 국민의 지지도는 떨어지는 법이거든요. 자기의 능력을 기르면서 동시에 지지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자기의 경험과 지식을 갖고 국가를 올바른 방향으로 만들어 나가야만 하는 게 정치인이 해야 하는 일 같아요. 저도 이제 경험을 많이 쌓았는데 국민들로부터 다시 신뢰를 얻어 그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과제인 거죠.”
-과거에 양보하지 않았다면 지금의 안철수는 다른 모습이었을 거란 이야기도 있는데.
“제가 중요한 순간의 일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던 거 같아요. 그 사건 자체에 대한 중요도보다 제 설명이 널리 퍼져 있지 않다 보니 오해가 많이 생기는 것 같아요. 2011년 서울시장 선거 때는 정치할 생각이 전혀 없었어요. 제가 정치할 생각이 없는데 왜 그걸 지지도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선택하겠어요. 2012년 대선 출마 선언은 그 후 1년 이상 고민한 결과였죠. 2012년 대통령 선거 때는 제 모든 것을 걸고 단일화를 이루겠다고 대국민 약속을 했기 때문이에요. 구체적 단일화 논의가 불가능한 상황이 됐을 때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그 결정을 한 거였어요. 세월이 많이 흘러서 여전히 왜 양보했냐는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많으세요. 안타까움에서 그 말씀을 하신 거 아닌가 싶은데, 저는 사실대로 설명드리는데 전달이 잘 안 되더라고요.”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20-05-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