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2사단 전문보병휘장 자격시험에서 카투사 병사가 기관총 사격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총열 흔들림 개선하자 분산도 63%↓‘사격’이라는 말에 열변을 토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군에서 특등사수였다’, ‘사격으로 수시로 포상휴가를 받았다’고 목소리를 높입니다. 남성 대부분이 1번 이상 살상용 무기로 사격을 해봤으니, 그 관심도란 어마어마하다고 해야 할 겁니다. 총기 분해도 척척 해내는 걸 보면 이스라엘, 북한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전 세계에서 총기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은 나라라고 해도 무방한 수준입니다.
사격술이라고 하면 보통 ‘개인의 실력’을 앞세웁니다. 처음부터 실력 좋은 이들은 거의 없습니다. 총기를 몸에 밀착시키되 손에 힘을 빼고 부드럽게 방아쇠를 당긴다고 설명하는데, 실제 사격에선 허둥댈 때가 많죠. 특히 연발 사격을 할 땐 심장이 쿵쾅거릴 정도로 불안감이 커집니다. 방아쇠를 누르자마자 튀어오르는 총구 때문에 날뛰는 말을 제압하는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26일 국방기술품질원 연구팀의 ‘소구경화기 분산도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총탄이 탄착군에 모이지 않고 흩어지는 정도를 ‘분산도’라고 합니다. 보통 10발을 쏴서 1발을 뺀 9발의 탄착군을 살피고, 최대 분산 직경(분산 정도를 원으로 그려 지름을 측정한 것)을 분석하는 방식을 씁니다. 분산도가 크다는 건 표적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 한다는 의미입니다. 연구는 병사 1명이 휴대하고 다니는 5.56㎜ 탄환용 경기관총을 활용했습니다.
20일 경기도 포천에 있는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열린 육군이 선보인 대규모 기동화력 시범에서 워리어플랫폼으로 무장한 전투원들이 지상 정찰 활동을 하고 있다. 2022.9.19 육군 제공
그럼 이 틈을 어떻게 줄여야 할까. 총 몸통과 총열 연결구간 제작시 허용되는 틈(공차)은 불과 0.10~0.18㎜ 정도입니다. 연구팀은 이것을 0.10~0.14㎜로 아주 미세하게 줄였습니다. 그리고 총열 두께를 각각 0.5㎜, 1㎜씩 늘렸습니다. 총열을 두껍게 하고 흔들리지 않도록 틈을 줄여버린 겁니다. 여기에 더해 총 몸통과 총열 연결 구간 길이를 12.5㎜에서 15㎜로 늘려 총열이 총 몸통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도록 했습니다. 총열을 더 깊이 넣으면 당연히 흔들림은 줄어들게 됩니다.
STC-16 특수작전용 기관단총의 실사격 모습. SNT모티브 제공
연구팀은 다른 총기에도 이런 방식을 적용해 탄환이 잘 맞게 하는 비법을 찾는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군이 소구경 화기에도 애정과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될 겁니다. 병사들만 닥달한다고 해결책이 생기는 건 아니라는 점도 같이 말이죠.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