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열 사위 미운 데 없고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

[김주혁 선임기자의 가족♥男女] “열 사위 미운 데 없고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

입력 2014-07-14 00:00
수정 2014-07-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부 갈등이 잘 드러난 속담들

남존여비식 유교 문화가 지배했던 조선시대에는 ‘벙어리 3년, 귀머거리 3년, 장님 3년’이란 말이 있었다. 며느리는 시집에 대해 함부로 말하지 말고 못 들은 척, 못 본 척하며 쥐죽은 듯 지내라는 말이었다. ‘고추보다 더 매운 시집살이’란 말은 대가족제도 아래서 3대가 함께 살며 혹독한 시집살이를 치러야 했던 상황을 말해준다. 요즘 세상과는 거리가 있다.

‘열 사위 미운 데 없고 외며느리 고운 데 없다’는 말은 사위는 좋게 봐주지만 며느리는 밉게 보고 박대하던 시대상을 반영한다. ‘양식 없는 동자(부엌일)는 며느리 시키고 나무 없는 동자는 딸 시킨다’는 말은 며느리와 딸을 차별대우하던 분위기를 드러내는 말이다. 쌀은 구하기 어렵고 나무는 뒷산에 가면 구하기 쉬운 만큼 쌀 없이 밥 짓는 어려운 일은 며느리에게, 나무 없이 밥 짓는 쉬운 일은 딸에게 맡긴다는 것이다. ‘오라는 딸은 안 오고 왼통 며느리만 온다’는 속담도 같은 맥락이다. 시어머니가 며느리와 딸에게 이중기준을 적용하는 처사는 바뀌어야 한다.

‘시집 밥은 살이 찌고 친정 밥은 뼈 살이 찐다’는 속담은 며느리 입장에서 친정살이가 마음 편하다는 심정을 대변해 준다. ‘시어머니가 아프면 골치가 아프고, 친정엄마가 아프면 마음이 아프다’도 마찬가지. 며느리도 시어머니를 친정엄마처럼 공경할 필요가 있다. ‘겉보리 서 말만 있어도 처가살이 안 한다’, ‘처가와 뒷간은 멀수록 좋다’는 처(妻)월드의 원조격이다. 하지만 요즘 세상엔 놀이터에서 아이를 돌봐주는 분의 70% 내외가 외할머니인 만큼 특히 아이들이 어릴 때는 처가가 가까운 게 좋기도 한 세상이다.

만고불변의 진리는 ‘마누라가 예쁘면 처갓집 말뚝을 보고도 절한다’는 격언이다. 남편 입장에서 나온 말이지만 아내에게도 해당된다. 남편이 아내에게 잘하면 아내도 당연히 시부모에게 잘하게 된다.

happyhome@seoul.co.kr

2014-07-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