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조선 고아 1100명 돌봐… 독립운동가 석방 도운 일본인 [대한외국인]

40년간 조선 고아 1100명 돌봐… 독립운동가 석방 도운 일본인 [대한외국인]

명희진 기자
입력 2024-08-12 01:56
수정 2024-08-12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고아의 아버지’ 소다 가이치

조선 보육원장 맡아 운영에 정성
손수레 끌고 군부대서 밥 얻기도

판사 꾸짖고 일제의 만행엔 공격
日 패망 뒤 “일본인 회개를” 주장
양화진에 묻힌 단 한 명의 일본인
이미지 확대
일제 식민 지배 당시 조선인 고아들을 보살피며 독립운동을 지원한 소다 가이치는 일본이 패망한 뒤 본국으로 귀국했지만 남은 생을 한국에서 고아들과 함께 보내고 싶어했다. 1961년 5월 94세 나이로 다시 한국 땅을 밟아 서울 중구 영락동 영락교회 본당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소다(왼쪽 두 번째). 영락사회복지재단 제공
일제 식민 지배 당시 조선인 고아들을 보살피며 독립운동을 지원한 소다 가이치는 일본이 패망한 뒤 본국으로 귀국했지만 남은 생을 한국에서 고아들과 함께 보내고 싶어했다. 1961년 5월 94세 나이로 다시 한국 땅을 밟아 서울 중구 영락동 영락교회 본당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소다(왼쪽 두 번째).
영락사회복지재단 제공
“소다 선생은 일본 사람으로 한국인에게 일생을 바쳤으니,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으로 나타냄이라. 따뜻한 품에 자라난 고아가 수천이더라. 1919년 독립운동 시에는 구금된 청년의 구호에 진력하고….”

1890년 조선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이 묻힌 서울 마포구 양화진에는 단 한 명의 일본인 소다 가이치(1867~1962)의 묘가 있다. 그는 1905년부터 1945년 해방 때까지 40년간 조선에서 아이 1100여명을 돌본 ‘고아의 아버지’이자 독립운동가의 석방을 돕고 해방 후 “일본의 회개”를 주장한 일본인이었다. 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했던 소다는 “한국인들과 같이 있기를 원한다”는 소망대로 한국 땅에 묻혔다.

1867년 일본 조슈번(현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난 그가 조선인과 특별한 인연을 맺은 건 1899년 대만에서 이름 모를 조선인의 도움을 받으면서다. 독일인이 경영하는 대만의 한 공장에서 사무원 겸 통역으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밤 술에 취해 거리에서 쓰러져 죽을 뻔했다. 그때 그를 업고 여관에 데려가 치료비와 밥값을 대신 치러 준 이가 바로 조선인이었다.

소다는 이후 일자리를 구하려 1905년 6월 ‘은인의 나라’로 향했다. 서울YMCA 전신인 황성기독교청년회 학관에서 일본어 선생으로 일하며 이듬해 독립운동가였던 월남 이상재(1850~1927) 선생을 만나 크게 감화받아 기독교 신자가 된다.

소다는 1921년 가마쿠라보육원 경성지부장(현 영락보린원장)이 되면서 또 한번 인생의 전환기를 맞는다. 소다는 아내와 함께 젖동냥을 다니며 해방 때까지 1100명이 넘는 고아들을 길렀다. 운영난에도 소다는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 직접 손수레를 끌고 군부대를 찾아가 밥을 얻어왔을 정도로 정성을 다했다. 그러나 “왜놈이 조선 아이들을 어디다 팔아먹으려고 하느냐”는 오해도 받았다.

소다의 활동은 독립운동가 구명으로까지 이어졌다. 1911년 신민회 회원들이 대거 검거된 이른바 ‘105인 사건’으로 YMCA에서 함께 활동했던 기독교인들이 투옥되자 소다는 고향 사람인 데라우치 마사타케 조선 총독을 찾아가 “무고한 이들을 석방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1919년 3·1운동으로 월남 선생이 투옥됐을 때는 법정에서 판사를 꾸짖고 일제의 만행을 공격했다. 일본인들은 그가 동족을 배신했다고 비난했다.

소다는 “한국 고아들을 데려다 항일 교육을 한다”는 이유로 헌병대에 불려가 조사받기도 했다. 보육원을 나온 원생들이 독립운동 지하조직의 일원이 돼 체포됐을 때는 “모든 것이 나의 불찰”이라며 석방을 간청했다. 일본이 패망한 이후엔 보육원을 아내에게 맡기고 일본으로 돌아가 “전쟁을 일으킨 일본인들은 회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미지 확대
1961년 6월 영락보린원(옛 가마쿠라 보육원) 제1회 체육대회에서 어린이들의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고 있는 소다(점수판 앞). 영락사회복지재단 제공
1961년 6월 영락보린원(옛 가마쿠라 보육원) 제1회 체육대회에서 어린이들의 모습을 뒤에서 지켜보고 있는 소다(점수판 앞).
영락사회복지재단 제공
소다는 여생을 한국의 보육원에서 마치길 소망했다. 1960년 일본 아사히신문이 “한국 대통령 이승만의 오랜 친구인 소다 옹이 한국 귀환을 열망한다”는 기사를 대서특필했고 영락보린원장을 맡은 한경직 영락교회 목사가 정부와 접촉해 소다에게 초청장과 재정보증서를 보내 1961년 다시 한국에 올 수 있었다.

그는 영락보린원에서 지내다 이듬해 3월 세상을 떠났다. 당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과 고사카 젠타로 일본 외무상이 조화를 보냈다. 한국 정부는 1962년 4월 일본인으로서는 최초로 그에게 문화훈장을 추서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에 있는 소다의 묘. 이곳에 묻힌 일본인으로는 소다가 유일하다. 명희진 기자
서울 마포구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에 있는 소다의 묘. 이곳에 묻힌 일본인으로는 소다가 유일하다.
명희진 기자
소다의 묘비에는 주요한 시인의 추모시가 새겨져 있다. ‘언 손 품어 주고 쓰린 가슴 만져 주어/일생을 길다 않고 거룩한 길 걸었어라/고향이 따로 있든가 마음 둔 곳이어늘’
2024-08-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