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8일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 돌고래 4마리가 수족관 물살을 가르자 곳곳에서 ‘와~’ ‘와~’하는 탄성이 터져나왔다.
우리나라 포경의 역사를 간직한 장생포에 살아 숨쉬는 고래가 출현했다.
100여년 전 울산 앞바다에서 포경이 시작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포경이 시작되면서 죽은 고래만을 가져오던 장생포에 심장이 뛰는 산 고래가 찾아온 것이다. 이는 ‘포경 전진기지’로 명성을 누렸던 장생포가 ‘고래생태도시’로 변신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장생포가 고래잡이에서 생태체험 관광지로 탈바꿈한데는 ‘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의 역할이 컸다.
이들 시설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인 관심을 끌면서 울산의 명물로 자리잡고 있다.
고래박물관은 2005년 5월31일 장생포 해양공원 바닷가에 지상 4층 규모(부지 6610㎡)로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상업포경 금지 전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경 전진기지였던 장생포항의 역사적 의미를 살려 건립된 국내 유일의 고래박물관이다.
이곳에는 고래의 생태 및 진화 과정을 영상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길이 12m가 넘는 대형 브라이드 고래와 범고래의 실제 뼈를 원형대로 복원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고래박물관은 개관 이후 전국적인 관심을 끌면서 현재 방문객 수만 113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장생포 고래관광은 박물관 개관 4년 만에 들어선 ‘고래생태체험관’으로 한 단계 더 진화했다. 고래생태체험관은 박물관 옆에 지상 3층(부지 6542㎡) 규모로 건립돼 지난해 11월24일 개관했다.
1~2층에 걸쳐 설치된 고래수족관에는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들여온 돌고래 4마리가 관람객들의 발길을 잡고 있다. 1층의 연안바다 전시실에는 울산 연안에 서식하는 40여종의 물고기와 해초 등도 전시돼 있다.
고래생태체험관은 박물관과 연계해 개관 2개월여 만에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한몫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부터는 고래박물관 옆 부두에서 262t급 고래바다여행선도 운영되고 있다. 고래바다 여행선은 세미나실과 영화관 공연장 휴게실 의무실 등을 갖추고 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고래생태체험관에서 조련사가 돌고래를 훈련시키고 있다(위). 고래길 주변에 들어서 있는 울산 석유화학공단.
우리나라 포경의 역사를 간직한 장생포에 살아 숨쉬는 고래가 출현했다.
100여년 전 울산 앞바다에서 포경이 시작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포경이 시작되면서 죽은 고래만을 가져오던 장생포에 심장이 뛰는 산 고래가 찾아온 것이다. 이는 ‘포경 전진기지’로 명성을 누렸던 장생포가 ‘고래생태도시’로 변신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장생포가 고래잡이에서 생태체험 관광지로 탈바꿈한데는 ‘고래박물관’과 ‘고래생태체험관’의 역할이 컸다.
이들 시설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인 관심을 끌면서 울산의 명물로 자리잡고 있다.
고래박물관은 2005년 5월31일 장생포 해양공원 바닷가에 지상 4층 규모(부지 6610㎡)로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상업포경 금지 전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경 전진기지였던 장생포항의 역사적 의미를 살려 건립된 국내 유일의 고래박물관이다.
이곳에는 고래의 생태 및 진화 과정을 영상물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길이 12m가 넘는 대형 브라이드 고래와 범고래의 실제 뼈를 원형대로 복원해 눈길을 끌고 있다. 고래박물관은 개관 이후 전국적인 관심을 끌면서 현재 방문객 수만 113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장생포 고래관광은 박물관 개관 4년 만에 들어선 ‘고래생태체험관’으로 한 단계 더 진화했다. 고래생태체험관은 박물관 옆에 지상 3층(부지 6542㎡) 규모로 건립돼 지난해 11월24일 개관했다.
1~2층에 걸쳐 설치된 고래수족관에는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들여온 돌고래 4마리가 관람객들의 발길을 잡고 있다. 1층의 연안바다 전시실에는 울산 연안에 서식하는 40여종의 물고기와 해초 등도 전시돼 있다.
고래생태체험관은 박물관과 연계해 개관 2개월여 만에 10만명을 돌파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한몫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7월부터는 고래박물관 옆 부두에서 262t급 고래바다여행선도 운영되고 있다. 고래바다 여행선은 세미나실과 영화관 공연장 휴게실 의무실 등을 갖추고 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10-03-2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