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우주정거장의 숨겨진 이야기
지난 3일 미국인으로는 유일하게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머물고 있는 셰인 킴브로가 자신의 트위터에 축구공 사진 한 장을 올렸다.챌린저호 희생자 중 오른쪽이 ‘슬픈 축구공’의 사연을 품은 엘리슨 오니주카다(왼쪽 사진). 국제우주정거장(ISS) 내에 떠 있는 축구공(오른쪽).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처 미국항공우주국(NASA)
사연은 31년 전인 1986년 1월 28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오전 11시 30분쯤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굉음과 함께 우주왕복선 한 대가 힘차게 날아올랐다. 현장은 물론 수많은 사람이 TV를 통해 발사 장면을 지켜보던 중 우주왕복선은 이륙 70여초 만에 공중에서 폭발했다. 인류의 우주탐사 역사상 최대의 참사로 기록된 챌린저호 폭발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했다.
당시 챌린저호에는 엘리슨 오니주카(1946~1986)가 아시아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탑승했다. 일본계인 그는 고등학교 축구팀에 있던 딸 자넬의 부탁으로 축구공을 건네받았다. 자넬과 동료 학생들이 각각의 꿈과 희망을 가득 담아 사인을 남긴 축구공이었다. 오니주카는 이 축구공과 함께 챌린저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돌 예정이었지만 모든 게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비극적인 사연을 품은 축구공은 사고 며칠 뒤 우주가 아닌 대서양 한복판 잔해 속에서 발견됐다.
뒤늦게 사연을 접한 오니주카의 딸 자넬은 “축구공이 마침내 우주로 나갔다”면서 “비극으로 끝난 아버지의 미션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와준 킴브로에게 감사드린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2017-02-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